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안전핀 뽑은 후 안 던져…‘수류탄 폭발’ 훈련병 사망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시 육군 32사단 신교대

조치 나섰던 소대장은 부상

9년 만의 ‘투척 훈련 중 사고’

경향신문

부대로 들어가는 응급차 세종에 있는 육군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서 훈련 도중 수류탄 사고가 난 21일 사단 정문으로 응급차량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육군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서 21일 훈련 도중 수류탄이 폭발해 훈련병 1명이 숨졌다. 숨진 훈련병은 안전핀을 제거한 뒤 수류탄을 던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대장은 이를 조치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경찰과 소방, 군 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50분쯤 세종시에 있는 육군 32사단의 신병교육대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을 하던 중 수류탄이 폭발했다.

숨진 훈련병(20대)은 수류탄 안전핀을 뽑은 뒤 던지지 않고 손에 들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지켜보던 소대장(30대·상사)이 이에 대한 조치를 하는 과정에서 수류탄이 터진 것으로 전해졌다. 훈련병과 소대장은 모두 방탄복을 입고 있었다.

훈련병은 국군대전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지만 숨졌다. 소대장은 손과 팔 등에 파편상을 입고 국군대전병원을 거쳐 국군수도병원에 재이송됐다. 소대장은 생명에 지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류탄 투척 훈련은 6주가량의 신병 훈련기간 중 4~5주차에 진행한다. 연습용 수류탄으로 먼저 투척 방법을 익힌 뒤, 교관 지시에 따라 실제 수류탄을 던진다. 이날 교육을 받은 훈련병은 235명으로 훈련장 주변에 있던 다른 훈련병이 사고를 목격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병교육대의 수류탄 투척 훈련은 2015년 중단됐다가 2019년 1월 재개됐다. 훈련이 중단됐던 건 2015년 대구 50사단 신병교육대의 수류탄 폭발 사고 때문이다. 당시 이 사고로 교관이 사망하자 수류탄 성능 불량 의혹이 불거졌고, 군 조사에서 불량 수류탄 4발이 나오면서 연습용이 아닌 실제 수류탄 투척 훈련이 금지돼왔다.

육군본부는 이날 전 군에 실제 수류탄을 이용한 훈련을 금지했다. 육군 측은 유족지원팀을 파견하고, 사고 현장을 목격한 훈련병들의 심리적 안정을 돕는 정신건강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망 장병과 가족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며 “민간 경찰과 함께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