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김계환 사령관, '채 상병 사건' 의혹 폭로한 박정훈 前단장 대질조사 거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 가릴 수 없어"

머니투데이

(과천=뉴스1) 김도우 기자 =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사진 왼쪽)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채상병 사건 수사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4.5.2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과천=뉴스1) 김도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당사자인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해당 의혹을 폭로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과 대질조사를 거부했다.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이들이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설'을 두고 각자 다른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진술 차이를 확인하고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대질조사를 시도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 수사4부(이대환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부른 뒤 오후에는 박 전 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했다.

이날 공수처는 김 사령관과 박 전 단장에게 대질조사를 시도했다. 이들이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설'을 두고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질조사는 수사에서 서로 다른 진술을 하는 관련자들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직접 질문해 사실관계를 명확하고 진실성 여부를 판단하는 조사 방법이다.

하지만 대질조사는 불발됐다. 공수처 관계자는 "수사팀은 양측에 대한 대질을 시도했으나 김 사령관 측의 거부로 진행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사령관 측은 "해병대가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해병대를 책임지고 있는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해병대에 더 큰 상처를 주어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대질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김 사령관은 이날 공수처에 출석하며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에서 대통령이 격노했다고 말한 거 맞나", "장관 이첩보류지시 외압이라고는 생각했나", "박정훈 대령 격노 주장은 거짓이라고 보시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았다.

반면 박 전 단장 측은 "지난해 7월31일 임기훈 당시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과 김 사령관 사이의 통화만으로도 증거는 충분하다"며 "(김 사령관이) 진실을 고하면 편안해진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고해 이제라도 평안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사령관은 지난해 7월 채 상병 사망 이후 조사 결과를 경찰에 이첩하려는 해병대 수사단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박 전 단장은 김 사령관으로부터 '수사 보고를 받은 VIP(윤석열 대통령)가 격노했다'는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말을 전해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김 사령관은 'VIP 격노설'을 언급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양윤우 기자 moneyshee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