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지금이 1억으로 '인서울' 할 기회?…다시 몰려드는 '갭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서울 강북지역 공인중개사 사무소 밀집지역 모습.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다섯째 주(29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평균 0.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넷째 주 상승으로 돌아선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 주까지 50주 연속 오름세다. 2024.5.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사진=(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1년째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 '갭투자' 거래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 내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줄어든 일부 단지에서 갭투자가 다시 살아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하반기에도 전셋값 상승과 수도권 쏠림 현상이 맞물리면서 이 같은 갭투자 분위기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에서 갭투자 매매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 상위 10곳 중 7곳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갭투자 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화성으로 파악됐다. 1분기 전체 매매 거래 2130건 중 100건(4.6%)이 갭투자 매매였다. 이어 경기 수원 영통구(73건), 충남 천안 서북구(72건), 경남 김해(69건), 인천 서구(60건), 경기 시흥(58건), 충남 아산(57건), 인천 연수구(53건), 경기 남양주(52건), 경기 성남 분당구(52건) 순이었다.

수도권 지역에서 갭투자가 늘어나는 것은 최근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매매가격과 차이가 줄어들면서다. 여기에 수도권 내 더 나은 입지 조건을 찾는 매매 수요가 더해지면서 갭투자가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52주째 오름세다.


'매매=전세' 가격 같아 갭투자 '0원' 지역도…"하반기 갈수록 갭투자 현상 강화될 것"

머니투데이

올해 1분기 '갭투자' 매매 증가 지역 및 1분기 지역별 '갭투자' 매매 거래/그래픽=윤선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갭투자 지역의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아예 같은 곳들도 있다. 인천 서구 연희동 우성아파트 전용 84㎡(3층)는 올해 3월 2억5000만원에 매매 된 후 같은 날 전세 2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매매 가격과 전셋값 차이는 0원이다.

화성 병점동 느치미마을주공2단지 전용면적 59㎡(10층)는 올해 3월 2억9800만원에 매매된 뒤 같은 달 2억682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가격 차는 2980만원에 불과하다. 경기 수원 영통구 매탄동 성일아파트 전용 49㎡(8층)는 2억1400만원에 매매, 1억80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차이는 3400만원이다.

서울 일부 지역에서도 갭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송파구는 1분기 전체 매매거래 556건 중 47건(8.4%)이 갭투자였다. 이어 성동구(38건), 노원구(34건), 강동구(32건). 마포구(30건) 순으로 많았다. 강동구 명일동 고덕주공9단지 83㎡(3층)는 매매가격(10억9500만원)과 전셋값(10억2500만원) 차이가 7000만원에 불과했다. 마포구 망원동 스카이캐슬 50㎡(3층)는 매매가격 5억원에 전셋값 3억8000만원으로 차이가 1억2000만원이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는 "전셋값이 상승한 데다 서울 등 수도권으로 매매 수요가 흡수되면서 갭투자가 늘어나는 상황"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이런 현상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어 "다만 다주택자 규제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이상과열 현상으로 번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민하 기자 minhari@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