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경기 서해 올들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연구원이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검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서해 연안에서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이 발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3일 경기 서해 연안에서 채수한 바닷물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검출됐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발견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월부터 ‘경기 서해 연안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시 사업’을 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도내 최초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시기는 2022년 4월25일, 2023년 4월24일이었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아져 바다 밑의 갯벌에서 월동하다가, 봄철에 해수 온도가 15℃ 이상으로 올라가면 표층수에서 검출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전국에서 최근 10년간 평균 52.6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경기도에서는 평균 9.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 시 증상으로는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된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피부 병변은 주로 다리에서 시작해 점차 범위가 확대되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1~3%의 식염 농도에서만 증식하는 호염성세균인 비브리오패혈증균이 원인이므로 흐르는 수돗물에 어패류를 잘 세척한 후 85℃ 이상으로 가열 처리해 섭취하면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간 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감염됐을 경우 치명률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비브리오패혈증은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8~9월 환자가 급증하므로 여름철 위생관리 중요하다"면서 "경기 서해 연안 비브리오패혈증균 환경감시를 지속 운영해 감염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