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끝나지 않는 전세포비아…수도권 소형 빌라 월세 54.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1분기 소형 빌라 전월세 거래량 및 월세 비중. 경제만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수도권 소형 빌라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비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 사기 우려가 지속되며 빌라 전세 수요 회복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서울, 경기, 인천의 전용면적 60㎡ 이하 빌라(연립·다세대)의 전월세 거래량은 5만891건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월세 거래는 2만7510건으로 월세 비중이 54.1%를 차지했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1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소형 빌라의 월세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20년 1분기 수도권 소형 빌라의 월세 비중은 31.5%였지만, 2021년 32.0%, 2022년 39.9%, 2023년 49.0%를 기록했다

수도권에서 월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도로 1분기 전체 거래 1만4361건 중 7916건(55.1%)이 월세 거래였다. 서울의 경우 전체 거래 3만3043건 중 1만7937건이 월세 거래였다. 서울도 월세 비중이 54.3%를 차지했다. 인천은 전체 3487건 가운데 월세 거래는 1657건(47.5%)이었다.

빌라 전세 거래 위축은 전세 사기 공포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신축 빌라의 경우 정확한 시세 파악이 어려워 깡통 전세와 전세 사기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 8일 기준, 전세사기피해자위원회가 피해자 등으로 인정한 사례는 누적 1만5433건이다. 또, 전세 사기로 8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빌라 전세 등 비(非) 아파트 전세 기피 현상을 완화하는데 중점을 맞춘 전세 안정화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오는 28일 정부 본회의에서 전세 사기 피해자들에 대한 ‘선(先)구제, 후(後)회수’ 방안이 담긴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통과가 유력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월세 선호 현상이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되돌려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기 전까지 아파트 전세 선호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현재 보증금 미반환 우려 때문에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고 있는데 정부의 개선 방안이 실효성을 얼마나 갖느냐에 따라 수요 분산을 결정할 것 같다”라고 전망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