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올해 수능도 '킬러문항' 배제…사설 모의고사 '판박이 문항' 검증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고3이 치를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도 킬러문항을 배제한 '공정 수능' 기조가 유지됩니다.

수능과 사설 모의고사 간 '판박이 논란'을 막기 위해 유사성 검증도 강화됩니다.

초등학생들은 방학 중에도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1학년들은 학기 중과 마찬가지로 2시간 무료 맞춤형 프로그램을 매일 제공받습니다.

오늘(22일) 교육부가 배포한 자료를 토대로 현재 추진 중인 늘봄학교, 교권 보호, 학교폭력 근절, 사교육 경감 등 초·중등 교육 주요 정책과 관련한 궁금증을 문답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

작년의 공정 수능 기조가 올해도 유지되나?

▲ 올해에도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변별력을 확보하는 '공정 수능' 기조를 유지합니다.

--

수능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는?

▲ 수능 출제진 신규 인력을 사전 검증한 뒤 '인력풀'에 상시 등록하고, 최종 출제위원은 이 인력풀에서 전산으로 무작위 선정합니다.

사교육 업체를 통해 출제 경력을 홍보했다가 적발됐거나, 소득 관련 증빙을 통해 사교육 영리 행위가 드러난 경우 인력풀에서 배제합니다.

수능 문항과 사교육 문항 간의 유사성 검증을 철저히 하기 위해 출제진이 출제본부에서 합숙을 시작한 뒤 발간된 사교육업체 모의고사도 검증할 예정입니다.

--

사교육업체의 카르텔, 부조리를 목격할 경우 어떻게 신고하면 되나?

▲ 교육부의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및 입시비리 신고센터'(https://fair-edu.moe.go.kr)에 신고하면 됩니다.

교육부는 신고 내용을 검토해 사안에 따라 시도교육청, 타 부처와 함께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합니다.

--

늘봄학교와 기존의 초등 방과후·돌봄 교실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

▲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돌봄교실과 차이가 있습니다.

방과후 프로그램과 달리 2시간의 맞춤형 프로그램도 무료로 제공합니다.

올해에는 초1, 내년에는 초2, 2026년부터는 초등학교 모든 학년에서 희망하는 학생 모두가 늘봄학교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초1의 경우 2시간 맞춤형 프로그램 이후 추가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지?

▲ 2시간 맞춤형 프로그램 이후에도 원하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방과후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다만 2시간 무료 프로그램 이후 방과후 프로그램은 수강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

방학 중에도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나?

▲ 그렇습니다. 방학에도 초1에게 매일 2시간 무료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초1이 원하면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교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 시간은 학교 여건에 따라 다릅니다.

--

올해 전국 교육지원청에 '학교폭력 제로센터'가 설치됐는데, 피해 학생들이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 학교에서 학교폭력 피해 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학생의 동의를 받아 '피해 학생 전담지원관'이 파견될 수 있습니다.

지원관은 피해 학생과 면담을 거쳐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줍니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