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고스톱도 끗발 안 서면 ‘노무현 탓’… 약자 편에 섰던 서민 대통령 [그해 오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늘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봉하마을은 이제 정치색 무관 관광지로

세계일보

담배에 불을 붙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 노무현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고스톱을 치다가도 끗발이 안 서면 ‘노무현 탓’이라는 농담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기간인 2003년부터 2008년 초 까지였다.

사회적 약자와 중산층을 위해 헌신했던 ‘서민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금으로부터 15년 전, 서거했다.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인 노 전 대통령은 당선 이후 재임 기간 동안 반부패와 투명한 정부를 지향했다. 하지만 그는 재임 기간과 퇴임 후 여러 정치적 논란과 법적 문제에 시달렸다.

그리고 2009년 5월 23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자택 근처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했는데 이는 많은 국민들에게 충격과 슬픔을 안겼다.

당시 그는 뇌물 수수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었고, 그의 최측근들이 연이어 구속되면서 정신적 압박이 극심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많은 국민들이 그를 추모하며 정치적 보복과 검찰의 과도한 수사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였고 이것은 정치 및 사법 시스템의 개혁 필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특히 고급 시계를 받아 논두렁에 버렸다는 ‘망신주기성’ 언론보도가 나왔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세계일보

노무현 전 대통령과 손녀 노서은 양. 노무현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그의 정치적 유산과 정신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 의해 기억되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과 반부패, 투명한 정치를 지향하는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이 묻힌 봉하마을은 김해시의 인기 관광지가 되었으며, 정치색과 상관없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라면 필수적으로 들르는 장소 중 하나이며, 보수 정당 정치인도 다양한 이유로 방문하기도 한다. 2022년 봉하마을 추모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그의 부인 김건희 여사도 직접 방문했다.

당시 많은 국민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거리로 나섰고, 이는 시민 사회의 활성화와 정치 참여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젊은 세대 중심으로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노 전 대통령 장례기간 중에 500만 명이나 되는 조문객이 몰린 것으로 확인됐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한국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의 유산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죽음을 통해 한국 사회는 정치적 분열을 넘어서는 통합의 가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그리고 정치 및 사법 시스템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 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 서거 15주기 공식 추도식은 23일 오후 2시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대통령묘역과 생태문화공원 특설무대에서 엄수된다. 추도식에는 권양숙 여사를 비롯한 유족과 문재인 전 대통령,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한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