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북한 합법적 거래수지, 제재 본격화로 연 1조6천억원 적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보고서…"제재 무용론 근거 부족"

연합뉴스

북한 송환 막바지 극동 관문 공항 평양행 노동자 북적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김형우 특파원 = 20일 오후 러시아 극동 관문 공항인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평양행 비행기에 오르기 앞서 세관 물품 신고를 기다리고 있다. 2019.12.20 vodcast@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의 합법적 거래수지가 2016년 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연평균 11억8천만달러(약 1조6천억원)씩 적자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임수호 책임연구위원은 23일 '대북제재 이후 북한 외화수지 추정Ⅰ: 합법적 거래수지' 보고서에서 대북제재가 본격화한 2017∼2023년 북한의 합법적 거래수지를 분석했다.

합법적 거래수지는 각국 세관이나 국제기구에 보고된 공식 실적 가운데 유엔 제재나 각국의 독자 제재 대상이 아닌 품목의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등을 말한다.

이 기간 북한의 상품수지는 85억7천만 달러 적자였다. 대중국 상품수지가 90억8천만 달러 적자였으며 기타 상품수지는 5억1천만 달러 흑자였다.

상품수지 적자는 대북제재 이후 급증하다 코로나19 봉쇄 기간 수입이 줄면서 감소했는데, 국경 봉쇄가 완화되면서 다시 폭을 키웠다.

해당 기간 서비스수지는 3억1천만 달러 흑자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약 56%가 국경봉쇄 이전 외국인 관광으로 벌어들인 수입이며, 카지노와 나선경제특구 업체 등으로부터 거둬들인 돈이 뒤를 이었다.

전체적으로 대북제재 본격화 이전인 2000∼2016년 합법적 거래에 따른 외화수지는 55억9천만 달러로 연평균 3억3천만 달러 흑자였는데, 제재 본격화 뒤로는 연평균 11억8천만 달러의 적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임 연구위원은 "제재에 따라 수입보다 수출이 더 많이 감소하면서 연평균 대외 상품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고, 적자를 메웠던 대남 수지 및 대외 소득수지 전체와 서비스수지 대부분이 불법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합법적 거래에서의 적자를 불법거래 수입으로 보전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합법적 거래수지 적자가 워낙 커서 전반적 외화수지는 적자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런 점에서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는 소위 '대북제재 무용론'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합법적 거래에 따른 외화수지 비교: 대북제재 이전과 이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홈페이지 캡처]


cla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