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물가와 GDP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2.1→2.5%…물가상승률은 2.6% 유지(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분기 성장 호조 반영…연초 고물가에도 '전망 경로 內' 판단

내년 성장률 전망은 2.3→2.1% 하향 조정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23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5%를 제시했다. 지난 2월 전망보다 0.4%포인트(p) 높였다.

앞서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2년 11월(2.3%) 이후 지난해 2월(2.4%), 5월(2.3%), 8월(2.2%), 11월(2.1%) 등으로 수정해왔다.

한은 전망치 2.5%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2.3%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2.6%보다 낮다.

한국금융연구원의 2.5%와는 같다.

글로벌 투자은행(IB)과 비교하면 골드만삭스(2.4%)보다 높고, JP모건, 씨티, 노무라 등의 2.6%나 HSBC의 2.7%보다는 낮은 전망치다.

한은은 지난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이 기존 시장 전망치인 0.6~0.7%를 크게 뛰어넘는 1.3%로 집계됨에 따라 연간 전망을 수정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내수 회복 조짐도 일부 나타나면서 성장률이 2% 중반대에 이를 것으로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5일 1분기 성장률 발표 직후 배포한 참고자료에서 "우리 경제의 성장 경로에 선명한 청신호"라고 평가한 바 있다.

기재부는 다음 달 하순께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 중반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KDI 역시 지난 16일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6%로 높이면서 "향후 우리 경제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점차 경기 회복 국면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0.2%p 하향 조정했다. .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6%로 유지했다.

연초 국제 유가가 중동 사태로 일시 급등하고 작황 부진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이 이어졌지만, 기존의 연간 물가 전망 경로를 이탈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한은은 돌발 변수가 없으면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해 올해 하반기 월평균 2.3%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해왔다.

올해 들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8%를 기록한 뒤 2~3월 연속으로 3.1%까지 올랐다가 4월 다시 2.9%로 하락한 상황이다.

한은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2.1%로 유지했다.

연합뉴스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5.23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hanj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