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올해 OLED 패널, 3년만에 출하량 반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소노펠리체컨벤션에서 열린 '2024 SID 리뷰 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시장이 3년만에 회복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용석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 혁신공정사업단장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23일 서울 강남구 소노펠리체컨벤션에서 진행한 '2024 미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리뷰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SID 리뷰 심포지엄은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진행된 'SID 디스플레이위크' 연구동향 분석과 국내 업계 대응 방안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단장은 “올해 OLED 패널 시장은 팬데믹 이후 침체에서 회복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TV,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회복에 따라 3년 만에 패널 출하량이 반등하고 두 자릿수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조사업체 DSCC에 따르면 OLED 패널 시장은 2021년 770만대, 2022년 750만대, 2023년 540만대로 감소하다가 올해 690만대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도 이뤄졌다. 곽정훈 서울대 교수는 퀀텀닷 디스플레이 및 소재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자발광 QD-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중국 CSOT가 각각 18.2인치, 14인치 QD-LED를 선보였다. 곽 교수는 삼성은 기술 난도가 높은 친환경 카드뮴 프리 QD를 사용했고, CSOT는 카드뮴을 포함하는 방식이라 직접 비교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안성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는 확장현실(XR) 기기 연구에 대해 LG와 삼성을 비롯한 모든 패널 기업이 무안경식 입체영상 구현기술인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 시제품을 전시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상용화를 위해서는 어지럼증 저감 기술, 다인용 인터랙션 기술 등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디스플레이위크가) 국내 기술 우위를 확인하는 계기였지만 경쟁국 추격도 어느 때보다 거센 상황”이라며 “국내 OLED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초격차 기술선점을 위해서는 LG디스플레이-SK하이닉스의 협업사례와 같이 국내 이업종 간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한 공동연구와 공급망 구축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