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기업호감지수 2년 연속 '긍정'···"기업들 국가 경제에 기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상의 조사···글로벌 선도기업보다는 호감도 낮아

호감 이유 1위는 '국가경제 기여'···일자리 창출 등 뒤이어

서울경제


서울경제


우리나라 국민들이 국내 기업에 대해 2년 연속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알려주는 '기업호감지수'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산출 결과 기업호감지수는 53.7점으로 지난해(55.9점)보다는 다소 낮아졌으나 2년 연속 호감 기준선인 50점을 넘겼다.

기업호감지수는 국제 경쟁력, 생산성, 국제경제 기여, 사회공헌, 윤리경영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출한다. 올해는 기업문화·친환경 등 2개 지표를 추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지수인 전반적 호감도가 지난해 52.6점에서 올해 54.1점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국제 경쟁력은 73.9점에서 올해 58.5점으로, 생산성·기술향상 지표는 73.3점에서 올해 63.9점으로 각각 하락했다. 대내외적인 경제 불안,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 '국가 경제에 기여'(43.8%)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26.5%), '기업문화 개선에 대한 노력'(10.3%),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9.7%) 등 순이었다.

또한 구글·아마존·테슬라 등 글로벌 선도 기업에 대해 느끼는 전반적 호감도는 57.5점을 기록해 국내 기업(54.1점)보다 높았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선도 기업에 비해 부족한 점(복수응답)으로는 '준법 및 윤리경영 미흡'(38.9%)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후진적 기업 문화'(35.9%), '도전정신, 기술 투자 등 기업가정신 미흡'(35.7%), '국가 경제에 기여 부족'(32.7%), '지역사회 공헌활동 미흡'(29.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에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경제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40.6%)이, 사회적으로는 '근로자 복지 향상'(33.5%)이 각각 가장 많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올해는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도가 상승했음에도 국제 경쟁력, 생산성 등 지표 하락으로 전체적인 지수가 소폭 낮아졌다"며 "기업에 대한 인식을 결정짓는 데 있어 경제적 역할과 성과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강해령 기자 h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