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K-반도체 지원에 26조 투입…尹 특단조치에 삼성·SK "적극 환영" [소부장반차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정부가 국내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총 26조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방안을 공개했다. 반도체 경쟁국 대비 저조한 투자 지원과 인프라 부족에 대한 지적이 잇달아 나오자, 이에 대한 상세 대책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반도체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정부의 결정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2차 경영이슈점검회의'에서 17조원 규모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 유망한 팹리스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을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올해 일몰을 앞둔 반도체 투자세액공제 지원도 연장키로 했다.

윤 대통령은 "먼저 산업은행에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할 것"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기업들이 공장 신축, 라인 증설과 같은 설비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다 보니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며 "산업은행의 지원프로그램으로 이런 어려움이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와 관련해서는 "연구개발(R&D)과 설비 투자금의 일정 비율을 국가가 환급해주는 것으로 보조금이나 다를 바 없다"며 "올해 일몰되는 세액공제를 연장해 기업이 R&D와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경기 남부에 조성되고 있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대한 조성 속도를 높이겠다는 약속도 내놨다. 규제를 포함한 이슈 대응 속도를 높이는 한편, 전기·용수·도로 등 인프라를 정부가 책임지고 조성해나가겠다는 게 주된 골자다.

국내 반도체 업계의 약점으로 지적받는 설계 전문(팹리스) 기업에 대한 지원 대책도 내놓겠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팹리스, 소부장 기업을 향한 1조원 규모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이날 정부의 발표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정부의 이번 지원 정책은 반도체 산업의 미래 경쟁력 제고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용수, 도로 등 인프라를 국가가 책임지고 조성하겠다고 한 정부의 발표는 미래지향적인 건설적인 내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는 이를 계기로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SK하이닉스도 "오늘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산업지원 정책을 적극 환영한다"며 "정부의 이번 지원 정책은 반도체산업을 둘러싼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 대한민국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K하이닉스는 이에 힘입어 계획한 투자들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며, 국내 안정된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에도 앞장서겠다"며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위상이 커질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의 발표가 구체적인 성과로 나오기를 기대하는 모양새다. 지난번 기획재정부 장관 등의 언급으로 시작된 이번 대책이 일종의 방향성 제시의 단계여서다. 이에 따라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반도체 업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 인프라, R&D를 포함해 전반적인 총괄 대책을 발표하면서 산업계의 의견을 많이 수렴하려고 했던 노력이 엿보인다"면서 "이번에 방향성이 정해진 만큼, 실제 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오는지 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