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與지도부, 평산마을 찾아 협치 손짓…文 "혐오의 정치 끝내야"(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盧추도식 참석 후 양산 사저에서 환담…황우여 "저녁이 있는 정치 하자"

黃 '광폭 행보'에 당 일각선 "관리형 비대위, 전대 준비 충실해야" 비판도

연합뉴스

문 전 대통령 예방 마친 국힘 지도부
(양산=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23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나와 이동하고 있다. 2024.5.23 image@yna.co.kr


(서울·양산=연합뉴스) 류미나 안채원 조다운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하는 등 '통합' 행보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황 위원장은 이날 추경호 원내대표와 함께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뒤 양산 평산마을로 이동, 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여당 지도부가 문 전 대통령과 만나는 것은 처음이다. 극단적 여소야대의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대립보다는 협치를 모색하자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양산 사저를 찾아 문 전 대통령과 20분가량 환담을 한 황 위원장은 정치 복원, 민생 문제 등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민감한 정치 현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황 위원장은 "(여야가) 낮에는 형식적이고 틀에 잡힌 이야기를 해도 저녁에는 흉허물 없이 이야기를 나누며 많은 것을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로 '저녁이 있는 정치'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소개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가 지금 너무 극단적 대립과 혐오의 정치를 한다"며 "정치권에서 먼저 극단과 혐오의 정치를 끝내고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문 전 대통령은 "당의 입장을 견지할 때 강하게 견지하더라도 언어 표현은 좀 순화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언급도 있었다고 한다.

황 위원장은 이번 문 전 대통령 예방에 앞서 민주당 이재명·개혁신당 허은아 대표를 만났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표 예방한 황우여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예방해 대화하고 있다. 2024.5.20 utzza@yna.co.kr


성일종 사무총장은 BBS 라디오에 나와 "정치를 하면서 여야가 자주 만나고 전직 대통령도 자꾸 찾아뵙고 지혜를 구하는 게 좋은 일 아니겠나"라고 황우여 비대위의 행보를 평가했다.

친윤(친윤석열) 성향 초선 당선인은 통화에서 "총선에서 108석을 준 국민의 뜻은 '소통하라'는 것이다. 국민과도 야권과도 소통해야 한다"며 "대통령이 이재명 대표도 만나는 판국에 당에서 문 전 대통령을 못 만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도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 자격으로 전직 대통령들을 예방하면서 문 전 대통령을 빼놓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황 전 위원장은 지난 21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예방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과도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총선 참패 이후 당 수습을 위해 임시로 띄운 '관리형 비대위'로서 이 같은 외부 활동에 치중하기보다는 전당대회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당권주자는 통화에서 "비대위의 최우선 과제는 전대 준비"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김민전 대변인은 비대위 후 브리핑에서 "전대 관련 논의가 공식화된 것은 없지만 준비는 하고 있다. 비대위의 역할을 망각했다는 이야기는 지나치다"고 반박했다.

김 대변인은 "대화 물꼬를 트고자 전직 대통령도 만나고 봉하마을도 가는 것"이라며 "국정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대결만 하면 되겠나. '나쁜 법'은 반대하지만, 화해·타협할 수 있는 부분은 공감대를 만들려는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minary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