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美, 티켓마스터에 반독점 소송..."콘서트티켓 가격 횡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결국 티켓마스터와 모회사를 대상으로 반독점 소송에 나섰다.
아시아경제

메릭 갈런드 미국 법무부 장관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법무부는 23일(현지시간) 뉴욕연방법원에 티켓마스터와 모회사 라이브네이션 엔터테인먼트를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메릭 갈런드 법무부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라이브네이션이 미국 내 콘서트 시장에서 독점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팬, 아티스트, 소규모 기획자, 공연장 운영자 등을 희생시키면서 불법적이고 반(反)시장적 행위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이제 라이브네이션을 해체할 때"라고 말했다.

법무부의 이번 소송에는 뉴욕주를 비롯한 29개주 정부와 워싱턴DC 사법당국도 동참했다. 이들은 소장에서 티켓마스터와 라이브네이션이 티켓 판매 독점 계약을 유도하고, 보복을 위협하며 잠재적인 경쟁자들을 인수하고, 경쟁자들이 이용하지 못하도록 공연장을 장기 독점하는 등 반시장적 행위를 해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불법적 행위로 인해 팬들은 티켓 구입 시 더 큰 비용을 지불하고, 아티스트들은 콘서트 기회 자체가 줄어드는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다.

소장에 따르면 세계 최대 공연기획사인 라이브네이션은 미국 내 250개 이상의 공연장을 확보하고 400명 이상의 아티스트를 직접 관리 중이다. 또한 미 전역에서 주요 공연장 콘서트 프로모션의 60% 상당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주요 엔터테인멘트 티켓 1차 예약분의 약 80%가 티켓마스터를 통해 거래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최대 티켓 판매 업체인 티켓 마스터의 시장 독점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 의회에서도 앞서 2022년 티켓마스터가 테일러 스위프트의 투어 콘서트 티켓을 독점을 판매한 후 가격이 치솟고 파장이 확산하자, 별도의 청문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라이브네이션은 2010년 티켓마스터를 인수했다. 당시 법무부는 양사 합병에 우려를 표하면서도 라이브네이션이 티켓마스터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공연장에 불리한 조치 등을 하지 않겠다는 조건 하에 이를 승인했었다. CNN방송은 처음부터 이 합병이 문제라고 주장해온 반독점 옹호자들은 이번 소송을 응원할 것이라면서 미 의회에서 티켓산업 규제를 위해 수많은 법안이 제안돼왔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법무부에서 회사 분할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라이브네이션의 콘서트 프로모션 사업과 티켓마스터 간 분리가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대선을 앞두고 숨겨진 정크수수료 폐지에 공을 들이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는 그간 티켓마스터의 수수료가 과도하다고 노골적인 압박을 이어오기도 했다. 갈랜드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티켓마스터가 고객에게 청구하는 수수료 목록을 하나 하나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발권수수료, 서비스 수수료, 편의 수수료, 플래티넘 수수료, 주문당 수수료, 처리 수수료, 결제 처리 수수료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반면 티켓마스터와 라이브네이션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라이브네이션은 성명을 통해 "서비스 수수료의 대부분이 공연장에 전달되고 있다"면서 "티켓마스터를 독점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법무부의 홍보 성공이라곤 할 수 있지만, 콘서트 업계의 기본 경제학을 무시하기에 법정에서 패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라이브네이션의 지난 회계연도 순이익 마진은 1.4%에 불과하다며 "이는 법무부가 타깃으로 한 기술분야 기업들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뉴욕증시에서 이날 라이브네이션의 주가는 전장 대비 7.81% 하락한 주당 93.4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