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기후동행쉼터, ‘편의점 점주에 부담’ 목소리도…“지원 있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내 18개 자치구 CU·GS25 41개 편의점 해당

점주 “쉼터 운영에 전기세나 부수적인 비용 부담 커”

공익사업 취지 왜곡돼선 안돼…참여 강제할 수 없어

쿠키뉴스

23일 방문한 기후동행쉼터로 선정된 서울 시내 한 편의점 내부 모습. 사진=김한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낮에 초여름 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 여름에는 편의점에서 폭염을 피할 수 있다. 폭염·집중호우에 취약한 약자들을 위한 ‘기후동행쉼터’가 올해부터 서울 시내 일부 편의점에 적용돼 오는 10월 15일까지 운영된다. ‘기후동행쉼터’로 선정된 편의점은 서울 내 18개 자치구의 41개 편의점이다. CU 23곳과 GS25 18곳이 해당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CU와 GS25는 지난 2월 서울시와 기후동행쉼터 협약을 맺었다. 이번 대책은 10월 15일까지 5개월간 적용되며,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다. 기후 동행 쉼터로 지정된 편의점에서는 물품을 따로 구매하지 않아도 한파나 폭염 등을 피해 언제든 방문해 쉴 수 있다. 24시간 운영으로 이용 시간에도 제한이 없다.

24시간 제약 없이 냉난방을 가동할 수 있는 편의점을 대상으로 점주의 동의와 참여 의지가 있는 곳들이 선정됐다.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둔 요즘, 기후동행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기후동행쉼터를 제공하는 편의점에는 협력 매장임을 인증하는 현판이 부착됐다.

기후동행쉼터로 선정된 서울 강서구 염창동의 한 편의점을 찾았다. 편의점 점주 A씨는 “에어컨을 상시로 틀어놓으니까 어르신들이 종종 쉬다가 가시는데 보다시피 내부에 앉을 만한 자리가 없다”면서 “어르신들이 보통 저녁에 집에 계시지만 낮에 많이 돌아다니신다. 가장 더울 때기도 하고, 낮에는 가게가 한가한 시간이라 해당 사업하고 잘 맞물렸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현판 붙이는 거 외에 홍보를 따로 하는 것도 아니라 알고 오는 손님들이 몇명이나 있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쿠키뉴스

23일 방문한 기후동행쉼터로 선정된 서울 시내 한 편의점. 사진=김한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역 인근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 B씨는 기후동행쉼터로 인해 비용 부담이 있다고 털어놨다.

B씨는 “일단 방문하는 손님들은 이런 제도가 있고 운영이 된다는 걸 모르고 그냥 들어와 쉬는 분들이 많다”면서 “쉼터 운영을 하려면 여름엔 에어컨, 겨울에는 히터도 틀어야 한다. 점포 입장에선 전기세나 부수적인 비용이 들어가는데 고스란히 점주가 감당을 해야 하니 비용 부담도 크다”고 말했다.

이어 “쉼터 운영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지거나 하진 않는다. 오히려 전기세가 많이 올라 하루종일 에어컨을 틀어놓을 수도 없는 실정”이라며 “점주들을 위한 전기세 지원이 된다면 부담없이 가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후동행쉼터는 편의점의 공익적 사업의 일환이지만 일부 점주들은 온도차를 드러냈다. 편의점은 기후동행쉼터 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연계한 여성 안심 지킴이, 미아 찾기 시스템 등 사회안전망으로서 지역 사회에 순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공공 인프라로서의 역할이 커지는 만큼 공익 사업의 취지가 왜곡돼선 안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과 가장 밀접한 플랫폼인 편의점이 누구나 쉽게 더위와 추위를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생활권 형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기후동행쉼터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라며 “선행에 앞장서는 점포와 함께 기후동행쉼터를 늘려나가고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BGF리테일 관계자도 “직영점 및 신청한 가맹점에서 기후동행쉼터가 운영되며 지역 주민들에게 24시간 동안 더위를 피할 쉼터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점을 하나의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편의점산업협회 관계자는 “편의점 업태 특성상 거점이 촘촘한 근거리 소비 채널이다 보니 위치적인 부분을 감안해 진행하는 공익적 차원의 사업”이라며 “가맹본부가 참여를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이익을 바라고 동참하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편의점의 역할이 커지는 만큼, 공익적 기능은 더 확대되고 있다”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기능도 다양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쿠키뉴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