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준석 'PB규제' 논란 직격…"시대착오적 판단 말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준석 "물가억제 도움될 수 있는 직구·PB 왜 건드리나"

"PB통해 중소제조사 제품 소싱하는 경우도 많아"

뉴스1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페이스북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정부가 해외직구를 규제하려다 소비자 반발에 철회한데 이어 유통업체의 PB(자체브랜드) 상품 부당우대 의혹에 제재 의지를 내비치면서 논란이 정치권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제2의 직구 사태 되나…PB규제 초읽기'라는 제목의 기사를 링크하고 "당장 소비자는 다만 몇백원이라도 싼 제품을 찾아 가격비교를 하는 상황 속 시대착오적 정책적 판단을 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통상 PB상품은 일반 제조업체 브랜드(NB)보다 20~30% 정도 가격대가 저렴한 편으로 '가성비'를 찾는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해당 기사는 쿠팡이 자사 PB상품을 부당하게 우대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 제재가 초읽기에 들어갔고, 소비자 선택권을 과도하게 제한해 논란을 빚은 해외직구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는 등 내용을 담고 있다.

공정위는 쿠팡이 알고리즘을 조작해 PB제품을 상단에 노출했다고 보고 이달 29일과 6월5일 두 차례 전원회의를 열어 제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쿠팡은 이에 "상품 진열은 유통업체 고유 권한이자 본질로, 공정위 규제는 세계 최초"라며 "애플 아이폰, 삼성 갤럭시 신제품도 상단 진열을 '알고리즘 조작'이라고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대표는 "물가 인상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많은 상황 속 물가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직구나 PB를 건드리는 것을 보면 정말 정책 방향성을 누가 설정하는지 궁금하다"며 "PB를 통해 유통기업이 중소제조사 제품을 소싱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혹시 대통령이 이 사안도 본인은 몰랐다면 제대로 보고 받고 물가관리에 허점이 생기지 않도록 해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쿠팡 PB상품을 제조, 납품하는 협력사 숫자는 지난해 말 기준 550곳을 돌파했다. 2019년 말(160여곳)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었다. 쿠팡의 자체브랜드 자회사 씨피엘비(CPLB) 파트너사 10곳 중 9곳은 중소 제조사다.

smi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