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SK하이닉스 주가 40% 올랐는데, 삼성전자는…HBM에 엇갈린 희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테크노마켓]HBM으로 엇갈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편집자주] 미래를 이끄는 테크 기업의 오늘을 전합니다.

머니투데이

올해 삼성전자, SK하이닉 주가 추이. /그래픽=윤선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발 훈풍으로 전 세계 반도체가 들썩이는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는 SK하이닉스의 활약이 돋보인다.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어 SK하이닉스 역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쏟아진다. 다만 SK하이닉스 주가에 상승동력으로 작용했던 엔비디아 실적 재료가 소진된 점은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할 가능성을 높인다.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 경쟁하는 삼성전자는 정반대 상황에 처했다.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삼성전자는 HBM 테스트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엔비디아 1Q 어닝서프라이즈, SK하이닉스 20만원 뚫었다

24일 코스피에서 SK하이닉스는 전날보다 0.7%(1400원) 내린 19만8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 중 20만4000원을 찍으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하고, 종가 기준으로도 20만원에 도달한 전날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일부터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올해 상승률은 40%에 달한다.

엔비디아의 호실적이 SK하이닉스 주가를 끌어올렸다. 엔비디아는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 마감 이후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는 1분기(2~4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260억4000만달러, 순이익 148억1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6.12달러를 기록했다. 매출 246억5000만달러, EPS 5.59달러에 형성됐던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다. 엔비디아는 2분기 매출 예상치를 280억달러로 제시했다.

머니투데이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H200'. /사진=엔비디아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호실적은 AI 반도체가 포함된 데이터센터 매출 성장 덕분이다. 데이터센터 매출은 225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27% 급증했다. 젠슨 황 CEO는 올 하반기 출시되는 차세대 AI 반도체 '블랙웰'의 성과를 자신했다. 그는 "올해 블랙웰 매출이 많이 발생할 것"이라며 올해 4분기 중 블랙웰의 데이터센터 탑재가 이뤄진다고 예고했다.

엔비디아는 23일 9.3% 급등하며 1037.99달러로 뛰어올랐다. 호실적뿐 아니라 10대 1 액면분할과 분기배당금 상향(0.04달러→0.1달러) 등도 호재로 작용했다.


엔비디아와 HBM 연결고리 부각… 하이닉스 "수율 80% 도달"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핵심 HBM 공급사다.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차세대 메모리다. HBM 평균 가격이 D램의 5배에 달해 메모리 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힌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 3사 중 가장 먼저 엔비디아에 HBM 납품을 시작했으며, 올해 3월부터는 5세대 HBM(HBM3E)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HBM3E 생산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이 80%에 도달했다.

머니투데이

SK하이닉스의 HBM3 소개 이미지. /사진=SK하이닉스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공급망에 속했기 때문에 두회사의 실적과 구조는 연동되는 구조다. 엔비디아 주가에 대한 눈높이는 1400달러까지 높아졌기 때문에 SK하이닉스 역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예상치는 각각 15조5377억원, 4조3940억원에 형성됐다. 지난해 2분기 매출 7조3059억원, 영업손실 2조8821억원을 기록한 점과 비교하면 극적인 실적 성장을 이뤄낸다는 추정이다.

BNK투자증권은 전날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21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올렸다. 이민희 연구원은 "올해 HBM 예상 수요량 대비 SK하이닉스 점유율은 60%로 예상된다"며 "HBM3(4세대 HBM), HBM3E 시장 진입이 늦어진 경쟁사(삼성전자)의 생산량은 SK하이닉스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양사의 점유율 격차는 상당히 벌어질 것이며, 하반기 공급 부족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전 세계에서 AI 서버 인프라 투자 사이클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엔비디아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SK하이닉스의 수혜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로이터 "엔비디아 HBM 테스트 미통과"… 삼성전자 주가 3% 급락

머니투데이

올해 4월30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사진=정병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엔비디아발 충격을 받았다. 전날보다 3.1%(2400원) 떨어진 7만59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삼성전자의 HBM이 발열과 전력 소비 문제로 올해 4월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로이터 보도가 나온 여파다. 삼성전자 주가가 3% 넘게 떨어진 건 올해 1월3일 이후 처음이다. 올해 SK하이닉스가 40% 오르는 동안 삼성전자는 3%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들과 HBM 공급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는 공식 입장을 내며 진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HBM의 품질과 성능을 철저히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라며 "모든 제품에 대해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신뢰성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하지 못하면서 대규모 매도세에 휩싸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전격적으로 반도체 수장 교체를 단행했다. 2021년 12월부터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을 맡아온 경계현 사장이 물러나고, 전영현 부문장을 신임 부문장으로 앉혔다. 재계에서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화두로 떠오른 HBM 주도권을 SK하이닉스에 내준 데 따른 문책성 인사라는 해석이 나왔다.

머니투데이



서진욱 기자 sjw@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