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부산,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 119%…서울 빼고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주택담보대출이 열흘 만에 1조원 이상 불어나는 등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에 주택담보 대출 광고문이 붙어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이 7월말, 512조8875억원과 비교해 이달들어 열흘만에 1조2299억원 불어나 514조117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최근 인기를 끄는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에 일제히 연령 제한을 두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이 서울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부산지역본부가 최근에 발간한 ‘고빈도 자료를 활용한 최근 부산지역 가계소비 흐름 평가’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준 부산지역의 개인 처분가능소득(2022년 기준) 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119%로 집계됐다. 서울(219%)을 제외하고 대도시 중 최고 수준인 것이다.

처분가능소득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소득으로 통상적으로 소비와 구매력의 원천이 된다. 본부는 “부산은 소득 대비 가계부채 수준이 높아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상환 부담도 소비 개선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본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부산지역의 가계소비 회복 모멘텀이 크게 약화됐다고 진단했다. 본부는 “가계소비 증가율은 2023년 상반기 전년동기대비 5%대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1%대로 하락했다”며 “올해 1~2월 중에도 비슷한 수준의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회복 모멘텀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본부는 향후 부산지역 가계소비는 여러 경제여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증가세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본부는 “임금·고용상황이 개선되고 있고 소비심리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간 가계소비의 빠른 회복을 뒷받침하던 축적된 저축이 소진되기 시작했다”며 “임시일용직 중심의 고용개선으로 임금소득의 안정성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이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물가와 가계부채 수준은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부동산 가격 하락도 소비 개선을 저해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이투데이/서지희 기자 (jhsseo@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