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여보, 주담대 금리 여기가 가장 낮다는데”…주담대 신흥 강자로 떠오른 지방은행[머니뭐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분기 지방은행 주담대 금리, 시중은행보다 낮아

대구은행 평균 3.68%…5대 은행은 3.97~4.1%

중기대출 건전성 악화에 ‘안전자산’ 주담대 확보

5대 은행은 가계대출 ‘부담’…지방은행 이점 커져

헤럴드경제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의 대출 안내문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 서울에 거주하는 40대 A씨는 최근 금리가 연 4%대로 오른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을 갈아타기 위해 한 온라인 대출상담사를 찾았다. A씨는 애초 대형 시중은행서 대출을 원했지만, 3%대 금리를 제시한 곳은 지방은행 2곳 뿐이었다. 결국 3.81% 금리로 한 지방은행서 대출을 받은 A씨는 “수도권에 거주해서인지 처음 이용하는 곳이라 긴가민가했지만, 워낙 조건이 좋아 대출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지방은행들이 주담대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지역 중소기업 대출을 위주로 한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안전자산’ 주담대 유치의 필요성이 커진 영향이다. 이들은 현재 은행권 최저 수준의 주담대 금리를 제시하며, 시중 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향후 주요 시중은행들에 대한 가계대출 축소 압박이 가중되며, 지방은행의 금리 매력도가 더 돋보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방은행 실제 주담대 금리, 시중은행보다 낮다

헤럴드경제

서울 한 아파트 단지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3월 DGB대구은행이 실행한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방식, 만기 10년 이상)의 단순 평균금리는 3.68%로 전 은행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주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같은 기간 3.97~4.1%의 금리를 적용한 것과 비교하면 최대 0.42%포인트가량 낮은 수치다.

여타 지방은행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다. BNK경남은행이 1분기 실행한 주담대 평균금리는 3.77%로 대구은행의 뒤를 이었다. BNK부산은행 또한 같은 기간 여타 시중은행들보다 낮은 수준인 3.85%의 금리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점 미운영 등 비용 부문에서 강점을 가진 인터넷은행 2곳(카카오뱅크·케이뱅크)의 주담대 평균금리가 3.8%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파격적인 금리 책정인 셈이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들어 나타나고 있다. 불과 지난해 1분기만 해도 대구은행이 취급한 주담대 금리는 4.91%로 시중은행 중 가장 금리가 낮았던 농협은행(4.57%)과 비교해 0.33%포인트 높았다. 부산은행(4.86%)과 경남은행(5.06%)의 경우 농협은행보다 각각 0.29%포인트, 0.45%포인트 높아, 시중은행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건전성’ 위협에 주담대 영업 나선 지방은행들

헤럴드경제

서울 한 전통시장 모습.[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건전성 악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방은행의 건전성 악화 추세는 시중은행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경기에 민감한 지역 중소기업 위주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영향이다. 5대 지방은행(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의 대출 자산 중 중소기업 대출의 비중은 단순 평균 57.4%로 40% 내외의 5대 은행보다 높다.

이에 5대 지방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1분기 말 기준 0.71%로 지난해 동기(0.48%)와 비교해 0.2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연체율이 0.31%에서 0.35%로 0.04%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주담대는 담보 특성상 연체율이 낮고 연체가 발생하더라도 회수 가능성이 높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안정적인 대출 구조 형성에 기여한다. 지방은행에서 주담대 자산 비중을 높이는 데 열중하는 이유다.

헤럴드경제

서울 시내에 주요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설치돼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특정 지역에 머물러 있는 고객 기반을 넓히려는 의도도 작용했다. 시중은행 전환을 앞둔 대구은행이 가장 적극적으로 자산 확보에 나서는 이유다. 효과도 나타난다. 대구은행의 지난 3월 말 기준 주담대 잔액은 11조803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8조9349억원)과 비교해 32.1% 늘었다. 부산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12.47%의 증가율을 보였다. 5대 시중은행이 지난 1년 동안 4.97%의 주담대 증가율을 보인 것을 비교하면, 최대 6배가량 빠른 속도로 자산을 불린 셈이다.

금융권에서는 이같은 영업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건전성 악화 우려가 이어지는 데다, 가장 큰 경쟁사인 5대 은행에 가해지는 가계대출 축소 압박이 적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 5대 은행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1.2~1.5%로 제한하는 방안을 금융당국에 제출한 바 있다. 하지만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되며, 대출 취급 관리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될 경우, 시중은행들은 주담대 금리를 더 높여 대출 총량을 제한하는 방법을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지방은행의 금리 장점이 두드러지면, 신규 고객뿐만 아니라 시중은행으로부터의 대환 수요도 확보될 수 있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