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北에서 환갑 넘긴 고교생들 잘 살아있을까? 선유도·홍도 납북사건 재조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24일 전북 군산 선유도해수욕장을 찾아 송환기념비를 세우고 한국인 전후 납북자 송환을 촉구했다. 정부 부처 장관으로서는 최초 방문이다. 5월 27일에는 홍도 해수욕장에도 같은 송환기념비가 세워질 예정이다. 1970년대 고교생 납북 사건도 재조명되고 있다.

세계일보

2006년 6월 북한 금강산호텔 남측 기자실에서 45세가 된 김영남 씨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돌아오지 못하고 북한에 억류된 전후 납북자는 총 516명. 이날 송환기념비가 세워진 선유도 해수욕장은 516명 전후납북자 중 한 명인 군산기계공고 1학년생 김영남의 납치 장소다.

1977년 8월 5일 전북 군산 선유도 해수욕장에서는 16세 소년이던 김영남 씨가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북됐다. 일주일 후엔 전남 신안 홍도해수욕장에서는 평택 태광고등학교 2학년생 친구였던 이민교, 최승민 씨도 북한 공작원에 납북됐다. 이어 같은 곳에서 이듬해 8월 10일 천안농업공고 3학년이던 이명우 씨와 친구인 천안상업고등학교 홍건표 씨가 함께 납치됐다. 1970년대 남북의 경제력이 비슷한 상황에서 체제경쟁이 치열하고 간첩침투와 공작, 납치, 테러까지 이어지던 극심한 혼란기였다. 신상옥·최은희 부부 납북, 수도여고 교사 납북 사건도 비슷한 시기 벌어졌다.

세계일보

2006년 6월 북한 금강산호텔 남측 기자실에서 45세가 된 김영남 씨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김영남 씨가 82세가 된 남측 어머니와 상봉한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시 고교생 신분으로 납북된 이들 5명은 40여년이 흘러 이제 모두 환갑이 넘었지만 생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오직 김영남 씨만 모습을 한차례 드러냈고 나머지 4명 중 일부에 대한 소식이 간접적으로 들려온 바 있다.

정부는 1995, 1997년 남파공작원 김동식 등 수사 중에 실종 고교생들에 대한 진술이 나왔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1997년 수사 발표 보도를 보면, 북한 당국은 6·25전쟁을 전후한 월북자가 고령화되는 등 남파 공작원 관련 인적자원이 고갈됐고, 새로운 세대의 공작원 양성하기 위해서 이들을 납치했다고 밝혔다. 이명훈, 홍권표 씨가 북한에서 ‘마교관’, ‘홍교관’으로 불리고 있다는 것이었다.

김영남 씨는 2006년 6월 남북이산가족 상봉때 북측 참석자로 나와 생존이 확인됐다. 당시 그는 29년 만에 남측 가족과 상봉하면서도 남한으로 돌아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강산호텔 남측 기자들이 있는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은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된 것이 아니라 해수욕장에서 형들과 싸운 뒤 혼자 배를 타고 표류하다 북한 남포항에서 구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구조 당시 남한에서 가정 형편이 가난했고 북에서 환대해줬기에 북에서 살다 나중에 돌아갈 생각으로 배에서 내렸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1986년 초 북한에서 일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일본인 납북자 요코다 메구미를 만나 결혼했고 메구미는 1994년 자살했다고 했다. 그는 메구미와 낳은 자녀들과 함께 북에 계속 살겠다고 밝혔다.

세계일보

1978년 전북일보 사회면에 김영남 씨 실종 사건이 보도된 모습. 전북일보 제공


김 장관은 이날 제막식에서 김영남 씨의 형 두명과 형수 등 가족들도 참석한 가운데 국제협력을 통한 송환을 약속했다.

김 장관은 “북한 당국은 당시 미성년으로 국제법상 아동이었던 소년들에게 납치라는 중대한 아동인권침해를 가했다”며 “아동권리협약 당사국인 북한은 협약의 정신에 입각해 이제라도 5명 전원을 가족의 품으로 송환하고 납북자 문제해결에 전향적으로 호응해 오기를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 납북 고교생들의 부모도, 일본 메구미 양의 부모도 생명보다 귀한 자식을 사랑하고 양육할 권리를 하루아침에 박탈당했다”며 “미성년 아동을 포함한 북한의 납치·억류 문제는 우리 국민뿐만 아니라 여러 국적의 피해자가 존재하는 국제적 인권 문제”라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국제사회가 연대해 북한의 납치 범죄를 집중 조명하고 책임규명을 위한 실질적 조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앞으로 통일부는 납북된 국민들이 다시 돌아오는 날까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의한 납치·납북 문제와 관련해 가시적인 교섭 움직임이 있는 소통 라인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북·일 물밑접촉 뿐이다. 일본인 납치자 문제는 김정일 집권 시기 북한이 메구미 유골을 보냈고 종료됐다는 것이 북한 입장으로 북·일간 입장차가 크다. 이때문에 정부 안팎에서는 북·일 대화 성사 가능성을 희박하게 보는 기류가 상당하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