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트럼프, ‘김정은? 내 배에 칼 꽂을 X’ 발언…푸틴도 싫어해” 브로맨스 다 연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과거 '브로맨스'를 선보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욕설을 쓰며 불신을 표했다는 발언이 나와 주목된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재임한 고든 손들런드 전 유럽연합(EU) 대사는 24일(현지시간) 포린폴리시 인터뷰 중 트럼프 전 대통령과 나눈 대화를 언급했다.

그는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같은 차를 타고 "대통령 각하. 솔직히 말씀해보시라"며 "김정은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 X은 기회가 있으면 내 배에 칼을 꽂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포린폴리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손들런드 전 대사의 요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이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든 독재자들에게 공개적으로는 칭찬을 하지만 누구보다 판세를 잘 알고 냉정한 현실정치 관점에서 국가 안보에 접근한다는 것이었다고 부연했다.

손들런드 전 대사는 "트럼프는 푸틴을 전혀 좋아하지 않는다. 전혀"라며 "그는 공개적으로 푸틴을 칭찬하지만, 정반대 전략을 구사하기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토령이 러시아의 침공을 받는 우크라이나에도 유익할 것이라고 했다.

국방비 지출이 적은 북대서양동맹국(NATO)을 저버리거나 푸틴 대통령을 공개 칭찬하는 일이 원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의도적으로 '연출된' 반대 행동이라는 이야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김 위원장과 양극단을 걷는 관계를 지속했다.

취임 초 그는 '화염과 분노' 등 발언으로 김 위원장과 대립했다. 하노이 회담 불발 이후 이른바 '러브레터'로 불리는 친서를 주고 받았다.

그런가 하면, 최근에는 자신이 대선에서 승리하면 러시아가 구금중인 미국 기자를 푸틴 대통령이 석방할 것이라고 주장키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에서 "러시아에 구금된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 에반 게르시코비치는 선거(11월5일 대선)후 거의 즉시 풀려날 것"이라며 "내가 취임하기 전까지는 분명 석방될 것이다. 그는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올 것이며, 그의 가족과 함께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yul@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