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최재형 "특검 당당히 받고 협치 요구해야"..국힘 4번째 '찬성'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언가 감추려고 특검 거부' 비난 많을 것"

파이낸셜뉴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서울 종로에 출마한 국민의힘 최재형 후보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선거 사무소에서 출구조사 결과 발표를 보기 앞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최재형 국민의힘 의원이 25일 채상병 특검법 재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시사했다. 앞서 김웅·안철수·유의동 의원도 찬성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최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통령이 재의요구를 하지 않았으면 더 좋았겠지만, 이미 재의요구를 한 이상 특검을 당당하게 받고, 민생 입법이나 원 구성 등에 대한 협치를 요구한다면 공정과 상식을 지키고 국익을 위하는 책임 있는 정당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정국의 주도권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채상병 특검법 재표결은 오는 28일 본회의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은 부결을 당론으로 정했지만 현재까지 최 의원을 포함해 4명의 국민의힘 의원이 가결표를 던지겠다고 밝혔다. 다만 특검이 통과되려면 국민의힘에서 최소 17명이 찬성표를 던져야 한다.

최 의원은 "특검법이 야당의 정치적인 공세라는 점, 공수처 등 수사기관에서 수사 중이니 그 결과를 기다려 봐야 한다거나 특검법에 독소조항이 있다는 주장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연금개혁 등 수많은 시급한 난제들을 풀어나가야 할 시점에 특검을 거부함으로써 정치적 역량을 특검 공방에 소진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지, 그런 과정에서 대통령이나 여당이 정치적으로 얻을 것은 무엇이지 곰곰이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채상병의 사망 원인을 명백히 밝혀야 한다는 데는 누구도 이견이 없다"며 "문제는 채상병 사건과 관련한 일련의 사태에 대통령실을 비롯한 관계 기관의 부당 개입 여부"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 의원은 "진실은 셋 중에 하나일 것이다. 아무 문제 없거나, 문제는 있지만 법적 책임을 물을 정도는 아니거나, 법적인 책임을 물을 만한 문제가 있거나"라며 "저는 적어도 대통령에게 법적인 책임을 물을 만한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 의원은 "그러나 공수처나 경찰의 수사 결과 아무 문제 없거나 문제가 있으나 법적인 책임을 물을 정도는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을 때, 야당의 특검 재입법은 이미 예고돼 있다"며 "일방적 특검법 통과와 재의요구의 악순환은 불필요한 국력 소모로 여야 모두 정치적 지탄의 대상이 될 것이고 특히 정부, 여당이 무언가 아직도 감추려고 특검을 거부한다는 정치적 부담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최 의원은 "만일 법적 문제가 있고 공수처나 수사기관에서 법적인 책임을 물을 만한 위법이 있었다는 점까지 밝혀낸다면(당사자들은 이미 알고 있겠지요) 공수처 수사 후에 특검을 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켰으니 특검을 반대한 것이 옳았다고 지지하는 국민보다는 무언가 감추려고 특검을 거부했었다고 비난하는 국민이 훨씬 많을 것"이라고 썼다.

최 의원은 "특검을 야당이 추천하지만 대한변협이 추천한 4인 중 2인을 추천하는 것이지 야당이 마음대로 추천하는 것은 아니고 일일 브리핑은 특검법에 명시적 규정이 없더라도 국민의 알 권리 등을 내세운다면 막을 방법도 마땅하지 않다"며 "특검의 독소조항 때문에 특검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도 맞는 말이지만 국민을 설득할 논리로는 부족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서울 종로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