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탈모' 푸바오, 충격 근황…비공개 접객, 목줄 의혹까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웨이보에 푸바오 접객 의혹 사진 올라와 '논란'
이마 상처, 목부분 탈모.. 목줄 착용 의혹까지
중국 측 "관계자 외 푸바오 접촉한 정황 없어"


파이낸셜뉴스

/사진=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푸바오가 중국에서 비공개 접객에 이용되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최근 중국 SNS에는 푸바오로 보이는 판다를 가까이서 촬영한 사진이 올라왔다. 사육사가 아닌 누군가 손을 뻗어 만지거나, 먹이를 주는 듯한 모습이 담긴 휴대전화 사진이었다.

사진 속 판다에게서는 탈모와 목 부분이 눌린 자국이 발견되기도 했다. 최근 센터가 공개한 영상 속 푸바오도 같은 모습이었다.

판다는 감염에 취약한 동물이기 때문에 한국 사육사들은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푸바오와 접촉했다.

문제의 사진을 본 중국 누리꾼들은 푸바오가 특별한 소수에게만 '접객'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푸바오에게 넓은 정원을 제공한다더니 왜 지저분한 시멘트 바닥에 누워있나" "한 달 이상 격리·검역 과정을 거친 이유가 대체 무엇이냐" 등 분노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측은 해당 사진이 몰래 촬영된 것이라며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접객' 의혹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논란이 거세지자 센터는 지난 25일 "푸바오의 적응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며 근황 영상을 공개했다. 이후 댓글로 '오늘 촬영한 영상'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푸바오의 상태는 한국에 있을 때보다 좋지 않았다. 이마 부위에 상처로 추정되는 흔적이 보였고, 목에 있는 자국 때문에 목줄 착용 의혹까지 나왔다.

푸바오가 접객에 이용되고 있으며 주거 환경 또한 열악하다는 의혹에 대해 중국 측은 "선수핑기지의 환경은 판다에게 최적의 장소"라는 입장문을 냈다. 그러면서 "현재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들어가 푸바오를 만지거나 먹이고 촬영한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밝혔다.

입장문이과 관련해 현지 누리꾼들은 불법촬영 문제로 경찰에 신고했다던 센터 측 해명과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푸바오는 2016년 3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중 친선 도모의 상징으로 보내온 판다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2020년 7월 태어났다.

그동안 용인 에버랜드에서 생활하면서 '용인 푸씨' '푸공주' '푸뚠뚠' 등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러다 지난달 3일 중국으로 돌아갔다.

파이낸셜뉴스

/사진=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웨이보 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푸바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