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로봇이 온다

[르포]‘로봇개로 순찰하고, AR로 건축도 계산’…SK이노의 디지털 혁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DT 기반 스마트플랜트 2.0 자동화 추진

공정설비 약 85만기 모든 데이터 정리·관리

자체개발 관리 시스템 타업체에 판매하기도

직원들 디지털 역량 강화…전문인력 육성 속도

[울산=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지난 23일 찾은 SK이노베이션의 핵심 정유·석유화학 제품 생산기지 울산컴플렉스(CLX). 무채색의 파이프라인 덩굴과 수십미터짜리 원통형 탱크들만 가득한 공장 단지 속에 움직이는 생명체 하나가 포착됐다. 모든 작업이 대부분 자동화돼 사람 한 명 찾아보기 어려운 이곳에 관심을 불러일으킨 존재는 다름 아닌 노란 로봇개였다.

이데일리

로봇개가 SK이노베이션 울산 CLX 중질유분해시설을 순찰하는 모습.(사진=SK이노베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행독(Happy Dog)’이란 이름이 붙은 이 로봇개는 중질유분해시설(FCC) 공정 중 수소 플랜트(HP)를 하루 6번 순찰한다. 한 번 출동하면 40~50분 현장을 돌며 공장의 이상상태를 점검하고 보고한다. 김윤중 SK에너지 스마트플랜트 추진팀 PM은 “열화상 카메라와 가스 감지기를 탑재한 로봇개가 혼자 돌아다니며 공장의 이상상태를 감지한다”며 “자동 회피기능도 탑재해 장애물이 앞에 있어도 스스로 회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주간에는 로봇개를 활용하고 있지만 하반기에는 야간에도 출동시킬 계획이다.

이데일리

SK이노베이션의 로봇개 행독의 집.(사진=SK이노베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정 자동화 ‘스마트플랜트 2.0’ 혁신 박차

SK이노베이션은 2016년 업계 최초로 스마트플랜트를 도입하며 공정 자동화 혁신을 시작했다. 현재 공정운전, 설비관리, 안전·보건·환경(SHE) 분야에 인공지능(AI)과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을 적용한 40여개 스마트플랜트 2.0 과제를 SK 울산CLX에 적용하는 데 한창이다. 공장을 순찰하는 로봇개 역시 이 같은 혁신 작업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이날 로봇개와 함께 눈길을 끈 기술은 바로 증강현실(AR)을 활용한 비계(건축공사 시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 설치 작업이었다. 태블릿 PC를 통해 구현한 AR 화면 속에는 비계를 어디에 어떻게 설치할지 미리 확인해볼 수 있었다. 손가락으로 비계 수를 늘리거나 줄여 투입 수량을 확인해 실제로 비계를 설치하기 전에 최적화된 값을 산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SK에너지 스마트플랜트 추진팀 관계자는 “비계의 높이 물량 등을 한 번에 계산할 수 있다”며 “협력사가 비계에 대해 가격 정산 요청을 할 때도 이것을 증빙 자료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AR 기술은 올 1월부터 본격 도입됐다.

이데일리

SK이노베이션 직원들이 증강현실(AR)을 활용해 비계 물량을 산정하고 있다.(사진=SK이노베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SHE 분야에서는 250만평에 달하는 울산CLX의 통합 안전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모바일 기반 작업허가 발급 시스템 △협력사 근로자 위치 관리 시스템 △밀폐 공간 실시간 가스 감지 시스템 △XR 안전교육 등이 주요 내용이다.

자체개발 소프트웨어 판매까지

SK이노베이션의 ‘스마트플랜트 2.0’ 도입 과정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자체개발이다. 외주를 맡긴 후 단순 도입할 수 있는데도 최적화를 위해 내부 직원들이 직접 필요한 기술들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정창훈 SK에너지 스마트플랜트 추진팀장은 “솔루션을 제작하는 IT업체는 우리(정유·석유화학 업체)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른다”며 “막상 쓰려고 하면 요구했던 게 아닌 경우도 있어 자체개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SK이노베이션 직원이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해 열교환기 내부 모습을 확인하고 있다.(사진=SK이노베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렇게 자체개발한 시스템을 동종 업체들에 판매하며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키고 있다. 정 추진팀장은 “정유회사에서 무슨 시스템을 파냐는 말도 들어봤다”며 “재작년 이수화학에 오션허브라는 시스템을 처음 팔았으며 그 이후에도 KP케미칼, SK케미칼 등에 판매를 성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자체개발한 시스템을 사업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해외 업체에도 판매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오션허브는 SK이노베이션이 디지털혁신을 위해 자체 개발한 시스템으로, 울산CLX의 공정설비 약 85만기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차세대 설비 관리 시스템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직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울산 CLX 내 100명 수준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CDS)를 육성했으며, 이보다 한 단계 높은 어드밴스드 CDS는 13명을 확보했다. CDS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모델을 만들어 성과를 개선하는 전문인력을 뜻한다. SK이노베이션은 신입사원의 경우 CDS를 무조건 이수하도록 하는 방침을 세웠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