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충남도 특사경, 축산물 판매 불법 행위 32건 적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기한 경과 제품 판매 등 위반 사례 확인

파이낸셜뉴스

충남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홍성=김원준 기자] 충남도 민생사법경찰팀은 지난달 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축산물 취급업소 단속을 펼쳐 위반업소 32곳을 적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위반 사항은 △소비기한 경과 제품 판매 △자체 위생관리 기준 미운용 및 미작성 △원산지 및 식육 표시 사항 미표시 △개체 이력번호 불일치 등이다.

적발된 업체들은 축산물 판매업소가 소비기한이 지난 닭고기를 판매 목적으로 보관·진열했거나 매일 작성해야 하는 위생점검일지를 작성하지 않았다.

식육 판매 때 필수 기재해야 하는 원산지, 도축장명 등을 표시하지 않은 정육점도 다수 적발됐으며, 판매 시 표시된 소 개체 이력번호가 실제 판매되는 쇠고기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우 유전자 및 개체 이력번호 일치 여부는 학교 급식 및 식육판매업소 등 쇠고기 취급 업소를 대상으로 시료 200건을 채취해 도 동물위생시험소와 축산물품질평가원 분석을 거쳐 확인했다.

확인 결과 모두 한우인 것으로 판명됐지만, 학교 급식 2건과 정육점 등 쇠고기 취급 업소 10건의 이력번호 불일치 사례가 확인됐다.

적발된 업체들은 축산물위생관리법, 가축 및 축산물 이력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영업정지 및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신동헌 충남도 자치안전실장은 "앞으로도 도민이 축산물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원산지, 이력번호 표시 홍보 및 위생 점검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축산물 판매업소 등 현장에서도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소 이력번호는 출생부터 도축·포장·판매까지 한우의 모든 정보를 기록·관리하기 위해 개체마다 부여하는 고유 번호다. 쇠고기 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력번호를 조회하면 소의 출생 시기와 품종, 성별, 도축장, 도축 일자, 도축 검사 결과, 육질 등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