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북한 “삐라 오물짝 곧 한국에 살포…수거에 얼마만한 공력 드는가 직접 체험하게 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한이 한·미의 공중 및 해상정찰,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에 대해 “국경 침범”으로 규정하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시에 따른 것임을 드러내면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의 충돌 가능성, 대북전단에 대한 맞대응으로 대남전단 살포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정식 경고”라고 했다.

세계일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징.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2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 미국과 한국괴뢰공군의 각종 공중정찰수단들이 우리 공화국에 대한 적대적인 공중정탐행위를 로골적으로 강화하고있다”며 “5월 13일부터 24일까지 우리 국가에 대한 공중정탐행위에 동원된 미공군 전략정찰기는 《RC-135》 5대,《U-2S》 11대 계 16대였다”고 했다. 이어 “특히 미공군은 5월 20일부터 23일까지의 기간에만도 전략정찰기 《RC-135》 3대를 동원시켰다”며 “지금도 미국과 한국괴뢰공군은 무인정찰기 《RQ-4B》를 비롯한 각종 정찰기들을 하루중 시간적공백이 거의나 없이 련속적으로 동원시켜 전시상황을 릉가하는 수준으로 공중정탐행위를 감행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권과 안전을 엄중히 침해하고있다”고 주장했다.

김 부상은 한·미의 정찰 활동을 두고 “적대적정탐행위는 각이한 군사연습들과 함께 지역의 군사적긴장을 초래하는 주요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또 해상 정찰 활동에 대해서도 “적의 해상국경침범회수도 늘어나고있다”며 “한국괴뢰해군과 해양경찰의 각종 함선들이 기동순찰을 비롯한 여러가지 구실로 우리의 해상국경선을 침범하는 빈도가 잦아지고있다”고 했다. 이어 “빈번한 해상국경침범행위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것”이라며 “우리는 대한민국이 말하는 북방한계선(NLL)이라는것을 넘어본적이 없다”고 했다. 북한은 NLL을 남북 해상 경계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김 부상은 “우리는 자기의 주권과 안전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군사적조치를 취할수도 있다는것을 이미 경고하였다”며 “해상주권이 지금처럼 계속 침해당하는것을 절대로 수수방관할수 없으며 어느 순간에 수상에서든 수중에서든 자위력을 행사할수도 있다는것을 정식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만약 해상에서 그 무슨 사건이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공화국의 해상주권을 침해한 대한민국이 지게 될것”이라며 “한국이 우리가 선포한 해상국경선을 존중하지 못하겠다면 두려워라도 하게 만들어야 한다는것이 우리의 선택”이라고 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북전단 살포 행위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김 부상은 “최근 들어 우리의 국경지역에서 삐라와 각종 너절한 물건짝들을 살포하는 한국의 비렬한 심리모략책동이 우심하게 나타나고있다”며 “기구를 리용한 살포행위는 특이한 군사적목적으로도 리용될수있는 위험한 도발”이라고 했다.

그는 “국경지역에서의 빈번한 삐라와 오물살포행위에 대하여서도 역시 맞대응할것”이라며 “수많은 휴지장과 오물짝들이 곧 한국국경지역과 종심지역에 살포될것이며 이를 수거하는데 얼마만한 공력이 드는가는 직접 체험하게 될것”이라고 했다.

김 부상은 이번 담화가 “최고군사지도부”의 지시에 따른 것임을 드러냈다. 김정은 당 총비서를 위원장으로 하는 당 중앙군사위원회를 지칭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24일 우리 최고군사지도부는 군대에 이상과 같은 우리 국가주권에 대한 적들의 도발적인 행동에 공세적대응을 가하라고 지적하였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리익이 침해당할 때 우리는 즉시 행동할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24일 김 위원장 참석 하에 당 중앙위원회 제8기20차 정치국회의를 개최했다고 25일 보도했다.

통신은 “정치국은 최근 조성되고있는 군사정세에 관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의 종합적인 보고를 청취하였다”며 “정치국회의에서는 국가의 주권과 안전리익을 믿음직하게 수호하기 위한 공화국무력의 당면한 군사활동과업이 제시되고 그를 책임적으로 수행할데 대한 지적이 있었다”고 공개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