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물가와 GDP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도 '흔들'…5집 중 1집 '적자살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5가구 중 1가구는 ‘적자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에 해당하는 고소득 가구의 적자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소폭(0.1%포인트)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을 뜻한다.

세계일보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한 시민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적자 가구 비율을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경우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해 18.2%를 기록했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포인트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소득 상위 20∼60% 가구는 일반적으로 중산층으로 분류된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상위 60∼80%)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중산층·고소득층 가구 적자 살림 증가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 때문으로 보인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며 뒷걸음질 쳤다.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삼성과 LG 등 대기업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0% 감소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