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물가와 GDP

고금리·고물가 여파…1분기 중산층 5곳 중 1곳 적자 살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1~3월)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은 벌이보다 지출이 큰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에 근로소득 감소까지 맞물린 영향이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1%포인트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4분위(소득 상위 20~40%)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8.2%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2.2%포인트, 직전 분기(4분기)보다 3.4%포인트 늘었다. 3분위(상위 40~60%) 가구의 적자 비율은 17.1%였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씀씀이가 더 컸다는 의미다.

고소득층에 해당하는 5분위(상위 20% 이상)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9.4%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2분위(하위 20~40%)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한 29.9%를 기록했다. 반면 저소득층인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포인트 감소한 60.2%로 소폭 개선됐다.

중산층과 고소득층 가구에서 ‘적자 살림’이 증가한 건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늘지 못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된 것이다.

실제 올해 1분기 3·4분위 가구의 지출은 1년 전보다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 증가율도 3분위는 3.8%, 4분위는 0.7%로 부진했다. 1분위 가구에서 근로소득이 6.6%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고소득 가구인 5분위에선 삼성·LG 등 대기업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이 4.0% 감소했다. 통계청은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