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사람 대신 로봇·드론으로… SK이노베이션 "연간 100억 비용 절감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울산CLX, AI·DT기술 적용
스마트플랜트 2.0과제 도입
새로운 사업모델로 확장 계획


파이낸셜뉴스

지능형 로봇개가 SK 울산 콤플렉스(CLX)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이 국내 최대 정유화학 단지인 SK 울산콤플렉스(CLX)를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무인 공장'으로 추진한다.

SK이노베이션은 AI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플랜트 2.0 과제를 울산CLX에 도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울산CLX 공정운전, 설비관리, 안전·보건·환경(SHE) 분야에 적용되는 스마트플랜트 2.0 주요 과제는 공정 자동 운전 프로그램, 공정 자동 제어 고도화, 설비 고장예측 솔루션, 울산CLX 통합 안전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 40여가지다.

SK이노베이션은 이를 통해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자체 구축한 스마트플랜트 2.0 솔루션의 지식자산화를 통해 새로운 사업모델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SK 울산CLX는 지난 2016년 스마트플랜트를 업계 최초 도입한 이래로, 생산관리(OASIS), 설비관리(OCEAN-H) 등 데이터 및 업무 관리에 대한 기간 시스템을 구축했다.

AI·D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플랜트 2.0은 업무 자동화 및 지능화 기술을 도입해 에너지 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한 비용 경쟁력을 높이고 사고 및 설비 고장을 예방하는 안전성까지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정운전 분야에서는 공정 자동 운전 프로그램을 적용해 반복적인 업무 및 공정 시동·정지를 자동화했다.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공정 자동 제어(APC) 기술에 AI를 도입해 제어 수준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 생산 현장에 로봇개를 도입해 가스 누출 감시, 게이지 측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설비관리 분야에서는 진동 및 온도 등의 설비 데이터 기반 △고장 예측 솔루션을 구축해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있으며, 드론을 활용한 고소지역 설비 검사, 로봇을 활용한 위험 작업 대체 등을 통해 위험 작업의 로봇 대체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안전·보건·환경(SHE) 분야에서는 826만4462㎡에 달하는 SK 울산 CLX의 통합 안전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현재 울산CLX 내 90여명의 데이터 인력 및 10여명의 AI·DT 전문가를 양성해 직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SK 울산CLX는 국내 최초 스마트 플랜트 구축과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갖추고 있다"며 "실행력이 한층 강화된 스마트플랜트 2.0을 통해 전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동운전 플랜트'를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