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젠슨 황, 5년 새 자산 4조에서 123조로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찬 기자]
AI타임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셔터스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 급등으로 젠슨 황 CEO의 자산도 크게 늘어났다. 최근 5년 사이 무려 30배나 폭증했다.

CNBC는 24일(현지시간) 황 CEO의 자산이 5년 전 약 30억달러(약 4조1000억원)에서 지난 23일 기준 900억달러(약 123조원)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이는 GPU 수요 증가로 회사 매출이 3분기 연속 200% 넘게 급증, 엔비디아 주가가 23일 거래에서 사상 처음으로 1000달러를 돌파한 데 따른 것이다.

황 CEO는 GPU 수요가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컨퍼런스콜에서 "우리는 컴퓨팅이 작동하는 방식과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가 보유한 엔비디아 주식은 약 8676만주로, 엔비디아 지분의 3.5% 이상이다. 23일 엔비디아 주가가 9% 이상 상승하며 주당 1038달러에 마감되자, 그의 지분 가치도 하루 만에 77억달러(약 10조5000억원)나 증가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해 3배 오른 뒤 올해 들어서도 2배 넘게 올랐다. 지난 5년간 약 28배나 상승했다. 황 CEO는 AI 붐이 일어나기 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2022년에 엔비디아 지분을 늘리기도 했다.

올해 61세인 황 CEO는 1993년 3D 게임용 GPU를 개발하기 위해 실리콘 밸리에 회사를 설립했다. 게임은 수십 년 동안 회사의 가장 큰 사업이었지만, 엔비디아는 메타버스 및 암호화폐 채굴 칩을 포함한 시장으로 확장해 왔다.

특히 2022년 말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해 생성 AI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이 엔비아의 운명을 극적으로 바꿔 놓았다.

오픈AI는 대부분의 AI 개발을 엔비디아 GPU에서 수행한다. 또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메타와 같은 기업도 AI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며 매년 수십억 달러 상당의 GPU를 구입하고 있다.

또 10년 이상 AI 소프트웨어와 도구를 꾸준히 개발해 온 엔비디아는 결국 주요 기술 기업들에 최고의 공급업체가 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놓였다. 현재 AI 칩 시장의 약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젠슨 황 CEO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20명 중 한명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Copyright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