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닻 올리는 ‘한국판 나사’ 우주청… ‘뉴 스페이스’ 시대 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7일 사천서 개청… 본격 업무 돌입

과기·산자부 등서 맡던 우주 업무 총괄

2032년 달 탐사·누리호 4차 발사 준비

나로우주센터 내 민간 발사장도 구축

윤영빈 “민간 우주시장 성장 힘쏟겠다”

대한민국 우주시대를 이끌 우주항공청(KASA)이 27일 경상남도 사천에 문을 열고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한다. 지난해 4월 정부가 특별법을 발의한 지 약 13개월 만이다.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우주청은 이날 오전 사천시 소재 임시청사에서 본격적으로 업무에 착수했다. 이날은 지난 1월 제정된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는 첫날이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 내정자와 존 리 우주항공임무본부장, 노경원 차장은 소속 직원 110명과 간단한 상견례 행사를 가진 뒤 업무를 시작했다.

우주청이 맡은 임무는 무겁다. 우주청은 곧바로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임무를 주관한다. 정부는 올해 주요 임무로 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 등 5대 임무를 설정하고 예산 9923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존에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담당하던 관련 업무를 이제는 모두 우주청이 맡는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2032년 달 착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달 탐사 2단계 사업(달 착륙선 개발)에 착수하고, 상용 발사 서비스 시장 진입을 위해 차세대 발사체 100t급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설계·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내년으로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조립도 올해 진행되고, 민간 발사체의 발사 지원을 위한 나로우주센터 내 국내 최초 민간 소형 발사체 발사장 구축도 시작된다.

윤 내정자는 민간 우주기업 발굴도 추진할 예정이다. 누리호·차세대발사체 개발을 함께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규모가 작은 우주 스타트업들을 육성하는 등 민간 우주시장 성장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우주청은 우주항공 관련 정책·연구개발·산업 육성·국제 협력 등을 관장하는 행정기관으로, 개청과 함께 민간이 우주산업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의 포문을 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본부 7국 27과로 출범하며, 차장이 기획조정관·우주항공정책국·우주항공산업국을,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이 우주수송부문·인공위성부문·우주과학탐사부문·항공혁신부문을 관할한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정부는 2045년까지 세계 우주항공 시장 10%를 장악해 관련 산업 규모를 420조원 대로 키우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가우주위원회도 우주청 개청과 함께 기능이 강화된다. 위원장은 국무총리에서 대통령으로 격상되고, 위원 수는 16명에서 30명으로 늘어난다. 위원회에서 여러 현안을 조율할 간사위원도 우주청장이 맡게 된다.

다만 지난해 발의된 우주항공복합도시 특별법이 21대 국회에서 통과가 불발됐고, 향후 사천을 중심으로 관련 우주기업들을 대거 유치해야 하는 점도 숙제로 남아있다.

한편 우주 관련 업무가 우주청으로 이관되면서 과기정통부도 조직 정비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우주 정책 및 사업을 담당하던 2개 과가 우주청으로 이관되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을 기술 분야 간 융합과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조직으로 개편했다. 또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국방·치안·복지·안전 등)을 위한 전담부서인 공공융합기술정책과와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신설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 1월 우주항공청 특별법 통과 이후 우주청 개청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 동시에, 우주 기능 이관 이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분야 개편을 체계적으로 준비해왔다”고 밝혔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