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단독] 9년만에 '킵' 없애는 라인…네이버 지우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부 일정" 8월28일 서비스 종료
라인야후 기술독립 신호탄 해석도

머니투데이

라인의 '킵'(Keep) 기능. /사진=라인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신저 '라인'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킵'(Keep) 서비스가 올 하반기에 종료된다. 네이버(NAVER) 웹에도 동일한 기능이 제공되는 만큼 '라인야후 사태'에 따른 기술독립의 일환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 지분이 들어간 일부 기능을 정리하고 서비스 효율화를 이루겠다는 의도도 엿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라인은 킵 서비스를 오는 8월28일부로 종료한다. 2015년 8월 출시 후 9년 만이다. 킵은 사진, 동영상, 텍스트, 파일, 링크 등을 라인에 저장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장서비스'다. 킵을 통해 메신저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면 오래된 메시지나 이미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앱이 삭제돼 주요 파일을 잃어버릴 염려도 덜어준다.

킵 서비스는 종료되지만 '킵 메모대화방'(카카오톡의 '나와의 채팅'과 비슷)은 계속 제공된다. 라인야후의 한국법인인 라인플러스 관계자는 "킵의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의 저장기능은 모두 종료되지만 메모대화방은 살려둘 예정"이라며 "이용자들은 서비스 종료 전에 콘텐츠

백업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서비스 종료에 대해 라인 측은 "내부적인 일정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하지만 업계는 최근 라인야후 사태와 연관성이 있다고 본다. 킵은 '라인㈜'(네이버의 일본법인, 네이버가 지분 73.4% 보유) 시절 2015년 처음 출시(라인에 적용)됐다. 2021년 5월 네이버 웹에도 적용됐다. 사실상 네이버 기술인 만큼 기술독립을 추진하는 라인야후의 '네이버 지우기'가 본격화했다는 분석이다. 라인과 무관하게 네이버 킵은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는다는 점도 이같은 시나리오에 힘을 실어준다.

라인이 킵 서비스 종료를 공지한 시점(5월2일)이 라인야후의 네이버 기술독립이 기정사실화한 시기와도 맞물린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3일 열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라인야후에 기술적 파트너로 제공한 인프라를 분리해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쪽으로 됐다"고 밝혔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CEO(최고경영자)도 지난 8일 실적발표일에 "네이버와 위탁관계를 순차적으로 종료해 기술적 협력관계에서 독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에 대한 라인야후의 기술독립 작업이 물밑에서 한창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킵 서비스가 신호탄이 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고 말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킵 서비스는 출시 초기와 달리 사용성은 그렇게 높지 않다"며 "불필요한 기능은 정리해 군살을 빼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서비스 종료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