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제왕절개 후 딸 얼굴에 '칼자국'...병원은 "소송 가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YT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로 낳은 아기의 얼굴에 칼자국이 나 완치 불가능하다는 진단이 나왔지만, 병원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아 부모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40대 직장인 A씨는 2021년 11월 18일 부산의 모 병원에서 제왕절개 수술로 딸을 낳은 후 아기를 안아보던 중 아기 이마에서 칼자국을 발견했다. 당시 아기 이마에는 피가 흐르고 두 곳의 피부가 찢어져 있었다. 찢어진 한 곳은 상처 길이가 2cm나 되고 피부가 많이 벌어져 있었다.

집도의 B씨는 "눌린 자국 같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이라며 치료를 약속했다. 그러나 아기의 상처가 1년 6개월이 지나도 아물지 않아 A씨 남편이 문제를 제기하자, 집도의는 간호사 실수로 종이에 베인 상처이며 자신은 잘못이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부산대병원은 아기의 이마가 제왕절개(c-sec) 도중 찢어졌으며 칼에 의한 상처(laceration)라고 의심했으며, 피가 났지만 봉합하지 않았고 상처 부위가 부풀어 올라가 있다고 진단했다. 인제대 백병원은 상처를 아물게 하는 치료가 필요하며 호전 가능성은 있지만 완치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A씨의 남편은 병원이 사고 직후 아기에게 연고만 발라주고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상처가 다 아물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병원 측도 과실을 인정하고 유감의 뜻을 밝혔지만, 의료과실에 대비해 보험을 들어놨음에도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보험사는 의료 과실과 아기 치료비 등을 감안해 병원이 부담해야 할 금액은 1,270만 원이라고 산정했다. 그러나 병원은 소송을 통해 법원의 판단을 들어보자며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고 있다.

아기 부모는 병원 과실에 대한 별도의 위자료도 요구하지 않을 테니 보험처리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집도의 B씨가 보험 처리를 해주자고 주장하는데도 그와 동업 중인 다른 3명의 의사가 소송을 주장했다는 전언이다. A씨 남편은 해당 병원과 C씨 등을 의료과실과 의료법위반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A씨 남편은 "시험관 시술을 통해 45살에 어렵게 얻은 딸인데 커갈수록 상처도 커지고 있어 속상하다. 딸이 상처를 가리며 보지 말라고 말할 때 마음이 아프다. 코로나19가 극심할 때 출산해 아기 면회가 어려웠고 병원에서 알아서 상처를 잘 치료해줄 것으로 믿었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병원은 자기가 들어놓은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결정도 거부하고 있어 분통이 터져 잠도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들 부부를 돕고 있는 변호사는 "병원이 가입한 보험의 적용을 받게 해달라는 최소한의 요구도 무시하는 행태를 납득할 수 없다. 병원과 의사는 의료 과실과 함께 의료법 위반 사실도 있어 형사 처벌 대상이다"라고 주장했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지식과 이슈를 한눈에! [이게웬날리지] 보기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