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물가와 GDP

"외식 말고 '집밥' 먹어요"… 물가 상승에 나가서 사 먹는 게 무섭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 쌍둥이 아들을 둔 40대 주부 이모씨는 요즘 요리하는 재미에 푹 빠졌다. 김밥, 떡볶이, 쫄면, 만두 등 아이들의 간식은 직접 만들어 준다. 최근에는 짜장면과 탕수육, 팔보채 등 중국요리에 도전하고 있다. 이씨가 ‘요리사’가 된 것은 물가가 너무 올라 외식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이씨는 “가족이 외식을 한 번 하려면 뭐를 먹어도 10만원 안팎이 든다”며 “아이들이 외식을 하자고 조를까 봐 겁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보면 요리하는 방법이 잘 설명돼 있고, 시중에는 쉽게 요리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간편식이 나와 있다”고 만족해했다.

#2. 올해로 5년째 자취를 하는 30대 직장인 김모씨는 요리하는 재미가 솔솔하다. 외식물가가 너무 비싸 왠만한 요리는 집에서 만들어 먹는다. 김씨는 “1만원 지폐 한장으로 사 먹을 수 있는 외식 메뉴가 손에 꼽을 정도”라며 “마트와 슈퍼 등에서 판매하는 즉석요리 식품을 사다가 나만의 레시피를 추가해 다양한 요리를 한다”고 했다

세계일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밥’을 해먹는 가정이 늘고 있다. 고공행진 하는 외식 물가 영향이 크다. 외식물가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집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가정간편식(HMR)과 즉석조리 상품도 인기다.

◆‘한 끼 1만원도 빠듯’…먹거리 물가 상승률, 7개분기째 소득 증가율 '웃돌아’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2.9%)보다 0.1%포인트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도는 현상이 2021년 6월 이후 35개월째 이어진 것이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을 보면 지난달 서울 기준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8개 외식 메뉴 가운데 1만원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김밥(평균 3362원)과 자장면(7146원), 김치찌개 백반(8115원), 칼국수(9154원) 등 4개뿐이다.

비빔밥(1만769원), 냉면(1만1692원), 삼계탕(1만6885원), 삼겹살(1만9981원) 등은 1만원 선을 넘은 지 오래다.

그래선지, 올해 1분기에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 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아 7개 분기 연속 외식과 장바구니 부담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에도 김밥, 치킨, 햄버거, 피자, 과자 등 주요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올라 먹거리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세계일보

서울시내 한 음식점 메뉴와 가격표.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처분소득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이와 비교해 외식과 가공식품 등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이고,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보다 컸다는 얘기다. 이런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째 이어졌다.

◆‘외식은 피하자’…식재료·간편식·즉석조리 판매 ‘쑥’

생활 물가 부담이 큰 상황에서 유통업계의 식품판매는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의 신선식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 늘었다. 즉석조리 식품을 판매하는 델리는 6%, 가정간편식은 5% 각각 매출이 증가했다.

세계일보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홈플러스도 온라인 기준으로 1∼3월 판매된 신선식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가정간편식은 20%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이점이 있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식품 매출 성장세도 돋보인다.

지난 1∼5월 기준 신세계그룹 계열 이커머스 플랫폼 G마켓의 장보기 서비스 전문관인 ‘스마일프레시’의 신선식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나 늘었다.

세계일보

2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매출 증가율을 보면 잎줄기채소가 84%로 가장 높았고 버섯·나물류 62%,닭고기·달걀 51%, 견과류 48%, 생선·뿌리채소 각 38%, 잡곡·혼합곡 35%, 김치 34% 등이다.

같은 기간 SSG닷컴에서는 김밥과 샌드위치 등의 즉석 조리식품과 가정간편식 매출이 나란히 40%씩 증가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