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바이든, 조만간 사우디에 공격 무기 판매 금지 해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주먹인사를 하고 있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제다 |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공격용 무기 판매 금지 조치를 조만간 해제할 예정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선을 앞두고 ‘두 개의 전선’으로 인한 불안정을 관리하고 이스라엘·사우디 국교 정상화를 성과로 내세우려는 바이든 정부의 셈법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FT는 사안에 정통한 미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가 사우디 정부에 무기 판매 금지 조치를 해제할 준비가 됐다고 시사했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21년 1월 사우디가 예멘 내전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사우디와 체결한 정밀유도폭탄 GBU-39 3000발 등 무기 수출 계약 이행을 중단시켰다. 미국산 무기가 예멘에서 민간인 살상에 쓰일 가능성을 차단한다는 명분이었다. 또한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이후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에 인권 개선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양국 관계는 냉랭해졌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가자지구 전쟁 이후 국제유가가 폭등하고 중동 지역 불안이 고조되자 미국은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에너지 위기를 안정시키고 미국의 중동 정책을 지원할 파트너로서 사우디와의 협력이 절실해진 셈이다.

미국은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국교 수립을 중재하면서 미국과 사우디 간 상호방위조약 협상을 벌여왔다. 중동 지역에서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 연합을 공고히 하겠다는 구상의 일환이다. 사우디는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의 대가로 미국이 한국·일본과 맺은 것과 유사한 상호방위조약 체결과 민간 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 허용 등을 요구해 왔다.

FT는 “미 고위 관리들은 최근 양국이 방위 협정이나 초기 단계 민간 핵 프로그램에 대해 협력한다는 양자 협상을 마무리하는 데 가까워졌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주 사우디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 등과 상호방위조약 체결 협상을 진행했다. 이와 관련해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은 양국의 입장이 “거의 최종”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사우디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의 기본 전제로 내건 가자지구 전쟁 휴전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관한 ‘두 국가 해법’을 이스라엘이 수용하지 않고 있어 실제 협상이 타결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 | 김유진 특파원 yj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