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우키시마 호' 승선자 명부 없다던 일본, 거짓말 사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정연 기자(daramji@pressian.com)]
1945년 해방 직후 강제징용된 조선인 등 수천 명을 태우고 부산으로 향하다 폭침된 우키시마마루(浮島丸·우키시마호) 승선 명부를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었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온 데 대해, 야당과 시민단체가 일제히 비판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역사정의특별위원회는 27일 "일본 정부는 그동안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가 없다고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 해명하고, 사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위 공동위원장인 민주당 이수진 의원은 "일본 정부는 1990년대에 진행된 재판 과정에서 '우키시마마루의 폭발·침몰은 불가항력에 의한 것으로, 일본 정부에 법적 책임은 없다', '승선자 명부는 없다'고 주장한 이래 줄곧 명부의 존재를 부인해 왔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앞서 그동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를 일본 정부가 보관해온 사실이 지난 23일 일본 <교도통신>에 의해 드러났다. 통신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정보공개 청구에 응해 3가지 종류의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를 공개했다. 공개된 명부는 해군과 기업이 각각 작성한 것으로 보이며 오미나토(大湊) 해군시설부의 '승선명부' 표지에는 '총원 2492명'이라고, 또 다른 문서인 일본통운의 '조선인 명부'에는 144명으로 각각 기록돼 있다. 오미나토 지방 복원국 장관의 1946년 4월 19일 문서에는 조선인 승객이 오미나토 해군시설부 2838명, 해군시설협의회·일본통운 897명 등 합계 3735명으로 기재됐다고 한다.

이 의원은 "일본은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 후 선체를 인양하지 않고 5년간 방치해, 전쟁 중에 조선인 학대를 은폐하기 위해 우키시마호를 폭침시킨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키워왔다"며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 지배해 전쟁에 강제동원하는 일이 없었다면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희생자의 유골은 여전히 마이즈루만 바다에 잠겨 있거나 도쿄 사찰에 보관돼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에 끌려다니기만 한 것을 반성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길 바란다. 신속히 공개된 문서를 입수하고, 한일공동조사위원회 구성 등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우키시마사건 피해자 배상추진위원회도 지난 24일 입장을 내고 "일본 정부는 이렇게 실재하는 승선자명부에 대해 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는다고 거짓말을 했는지 해명하고 사죄해야 한다"며 "진상규명 없이는 사죄와 배상이 시작될 수 없다. 일본 정부는 우선 그동안 승선자 명부가 없었다고 한 거짓말에 대해 진상을 밝히고 사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키시마호는 1945년 광복 직후 귀국하려는 재일 조선인을 태우고 부산으로 향한 일본의 해군 수송선이다. 이 선박은 1945년 8월 22일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을 출발해 이틀 뒤인 24일 교토 마이즈루항에 기항하려다 선체 밑부분에서 폭발이 일어나 침몰했다. 일본은 우키시마호가 기뢰를 건드려 폭발했고 승선자 3700여 명 중 524명이 숨졌다고 발표했지만, 유족들은 일본이 고의로 배를 폭파시켰고 승선자 7000여 명 가운데 3000명 이상이 숨졌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사고 후 수년간 선체를 인양하거나 유해를 회수하지 않아 의혹을 키웠다.

프레시안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정연 기자(daramji@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