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尹 "동해에 최대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시추계획 승인"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 사안 중요도 인식

안덕근 산업장관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치는 삼성전자 시총 5배 정도"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3일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최대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고, 이 가치는 현 가지로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에 달한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을 통해 "오늘 산업통산자원부의 동해심해 석유가스전 탐사시추계획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는 1966년부터 해저석유 가스 탐사를 꾸준히 시도해 왔다"며 "그 결과가 1990년대 후반에 4500만배럴의 동해 가스전을 발견해서 3년 전인 2021년까지 상업 생산을 마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 정부 들어와서 지난해인 2023년 2월 동해 가스전 주변에 더 많은 석유 가스전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하에 세계 최고 수준의 심해 기술 평가 전문 기업 엑트지오사에 물리탐사 심층 분석을 맡겼다"면서 "최근에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고, 유수 연구기관과 전문가들 검증도 거쳤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는 19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에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심해 광구로는 금세기 최대 석유 개발 사업으로 평가받는 남미 가이아나 광구의 110억배럴보다도 더 많은 탐사 자원량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향후 계획과 관련해 "석유가스전 개발은 물리 탐사, 탐사 시추, 상업개발 이렇게 세단계로 진행이 되는데, 지금부터는 실제 석유와 가스가 존재하는지, 실제 매장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탐사 시추 단계로 넘어갈 차례"라고 밝혔다.

이어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하는데, 1개당 10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든다. 세계 최고의 에너지 개발 기업들도 벌써부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사전 준비작업을 거쳐 금년 말에 첫 번째 시추공 작업이 들어가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느 정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께서는 차분하게 시추 결과를 지켜봐 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뒤이어 취재진 앞에 선 안덕근 산업통상부 장관은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및 매장 추정량에 대해 "최대 140억배럴까지도 가능성 있다고 본다. 잠재가능성만 보면 막대한 분량"이라며 "추정하기로는 4분의 1정도가 석유이고, 4분의 3은 가스로 추정된다. 석유는 4년 분량, 가스는 29~30년 가까이 사용할 양"이라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향후 탐사 시추 통해 정확한 규모와 위치를 확정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면서 "올 12월부터 실질적인 탐사가 될 것으로 보고, (결과는) 내년 상반기에 나온다. 실제 매장량이 확인된 후 상업적인 시추 준비를 하게 되면 2027~2028년쯤 공사가 시작돼 상업적 개발은 2035년쯤에 시작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과다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최대 매장가능성 140억배럴은 현 가치로는 삼성전자 총 시가총액의 5배"라며 "매장량을 확인해 봐야 (정확히) 알 수 있다"고 했다.

탐사에 투입되는 비용과 관련해서 안 장관은 "4500만 배럴 분량의 가스가 나오는 동해가스전 개발 비용이 총 1조2000억원 정도 들었다"면서 "탐사 비용 자체를 말하기는 (현재로서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을 가졌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국민이 궁금해 하는 정책이나 중요 현안 등이 있을 때는 국정브리핑 형식으로 대국민 보고를 할 방침이라고 한다.

이날 윤 대통령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계기로 방한한 아프리카 10개국 정상들과 오전 9시부터 30분 간격으로 양자회담이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석유·가스 발견 소식은 빼곡한 정상회담 일정 사이에서 윤 대통령이 잠시 짬을 내 브리핑룸에 직접 내려올 정도로 중요한 사안이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