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뷰노, '뷰노메드 딥브레인' 기술 美 특허 등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뷰노메드 딥브레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 관련 핵심 기술인 '뇌 피질 영역의 두께를 분석하는 방법' 특허가 미국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 시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는 뇌 피질 영역의 두께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뇌 피질 영역의 두께 감소는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병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뇌 MRI 분석으로 해당 영역의 두께 변화를 조기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뷰노의 기술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뇌 피질 영역 두께 추정에 필요한 연산의 복잡도를 줄여 분석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기존 뇌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시간 단위로 소요됐던 연산 과정을 분 단위로 줄일 수 있다.

뷰노는 해당 기술이 반영된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미국 시장 공식 론칭을 앞두고 있다. 올해 7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되는 알츠하이머 분야 세계 최대 글로벌 학회인 2024년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콘퍼런스 AAIC에서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뷰노는 앞서 지난 해 10월 앞서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미국에서 등록된 특허는 뇌 MRI를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이자, 미국 시장 진입을 앞둔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우수한 기술력을 담고 있다”며 “치매 치료제의 등장으로 조기 진단에 대한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높아진 상황에서 해당 제품이 미국 의료 현장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뇌 MRI 영상을 분석해 뇌 영역을 100여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의 위축 정도를 정량화한 정보를 1분 내 제공하는 AI 의료기기다. 의료진의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등 주요 퇴행성 뇌질환으로부터 비롯되는 치매 진단을 돕는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