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KT, MS와 손잡고 한국형 AI·클라우드 공동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섭 대표 취임후 첫 AI 빅딜 평가
MS기술 활용해 소버린 AI 개발 앞장
韓 AI 산업 혁신·성장 공동 도모
'개방형 혁신' 생태계 확장


파이낸셜뉴스

김영섭 KT 대표(왼쪽)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에 위치한 MS 본사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KT가 '인공지능(AI) 공룡'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을 잡으면서 김영섭 대표 취임 이후 첫 'AI 빅딜'을 성사시켰다.

이번 전략적 협업은 김 대표가 취임 이후 글로벌 AI 전략 수립 과정에서부터 큰 관심을 가져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한국 전용 AI 서비스 개발 및 연구 협력 등을 목적으로 하반기 내 협력 분야를 세분화할 계획이다. KT가 기존에 구축한 국내 스타트업 중심의 AI 동맹을 글로벌 빅테크까지 넓히면서 김 대표의 'AICT 컴퍼니' 전략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4일 KT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에 위치한 MS 본사를 방문해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 겸 이사회 의장과 AI·클라우드·정보기술(IT) 분야 내 긴밀한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KT는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MS의 기술을 활용해 공공·금융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한 '소버린 AI 및 클라우드''를 개발해 기업용(B2B)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소버린 AI·클라우드는 각국의 데이터·AI 주권 확보 필요성을 이유로 급부상한 개념이다.

양사는 오는 9월까지 한국 내 AI·클라우드 산업 혁신·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지원 영역을 추가적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KT는 이번 협력을 상호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계기로 평가했다.

특히 김 대표가 취임 후 지난해 말부터 이번 협력 과정을 직접 챙기는 등 신경을 쓴 것으로 알려졌다. MS 측도 이번 협력에 앞서 한국과 KT의 AI·ICT 수준을 높가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KT가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믿:음(Mi:dm)', 클라우드 및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보유하고 있는 점도 이번 협업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평가다.

김 대표는 "취임 후 연말부터 6개월 간 심도 깊은 논의 결과, KT가 쌓아온 국내 사업 경험과 MS의 기술력이 결합돼 한국에 경쟁력 있는 AI 혁신 파트너로 거듭날 수 있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MS와 전방위적 협력으로 시장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한국의 디지털 혁신에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KT는 이번 MS와의 협력으로 주로 국내 위주였던 AI 협력 기반을 글로벌 빅테크까지 넓히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김 대표가 제시한 'AICT 컴퍼니' 전략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리벨리온, 업스테이지, 모레 등과 구축한 토종 AI 동맹 이후 아마존웹서비스(AWS), MS까지 KT 협력관계에 합류하면서 KT가 '믿:음' 등 AI 모델 경량화·세분화 및 소버린 모델을 구축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KT 관계자는 "기술 혁신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다양해질수록 '오픈 이노베이션'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KT는 글로벌 빅테크, 국내 스타트업, 학교·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적인 협업을 확장하기 위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kt #마이크로소프트 #MS #AI #케이티 #AICT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