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분할' 주성엔지니어링 "반도체 사업, 밸류업 일조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황철주 회장, 지주사 전환 속도
디스플레이·태양광 사업 분리
중국發 리스크 분산할 수 있어
"혁신 기술 앞세워 글로벌 도약"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회사를 인적·물적 분할하기로 한 것은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함입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사진)은 5일 "미국과 중국이 대립하는 등 세계 경제에 있어 변수가 많으며, 이를 위한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결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미중 패권 경쟁 중 중국 업체들과 반도체 장비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자칫 회사가 문을 닫을 수 있다"며 "회사를 나누면 디스플레이·태양광 등 사업은 유지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와 태양광·디스플레이 장비 사업을 인적·물적 분할한다고 발표했다. 우선 인적 분할을 통해 신설하는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 장비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가 된다. 코스닥 상장도 재추진할 예정이다.

존속회사인 주성홀딩스는 지주회사로서 핵심 사업 경쟁력과 투자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둘 계획이다. 상장도 유지한다. 주성홀딩스로부터 물적 분할한 뒤 설립하는 비상장사 주성에스디는 디스플레이·태양광 장비 사업에 주력한다.

황 회장은 회사 분할을 통해 주주가치 재고에도 나설 방침이다.

그는 "지난 1995년 세계 최초로 원자층증착장비(ALD) 기술을 확보한 뒤 관련 기술을 반도체에 이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으로 확대했다"며 "그동안 업계 최초 제품 22종을 확보했으며, 이를 위한 특허만 3130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와 함께 디스플레이, 태양광 장비 사업을 운영하는데도 불구하고 현재 반도체 장비만 하는 국내외 업체들과 비교해 시가총액이 낮은 수준"이라며 "회사 분할을 통해 각 부문에서 정당한 기업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네덜란드 ASML, 미국 램리서치 시가총액은 각각 520조원, 172조원에 달한다. 국내 업체 중에 한미반도체와 HPSP 시가총액은 각각 14조원, 3조원 규모다. 반면 주성엔지니어링 시가총액은 1조6000억원 수준에 머물렀다.

황 회장은 회사 분할과 함께 2세경영에도 나설 계획이다. 실제로 황 회장 외아들인 황은석 사장은 올해 초 주성엔지니어링에 합류했다. 서울대에서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황 사장은 이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했다. 황 회장은 "황은석 사장은 현재 미래전략기획실장으로 활동 중이며 향후 반도체 장비 사업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며 "하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단계는 아니니 조금 더 지켜봐 달라"며 말을 아꼈다.

황 회장은 회사 분할에 대한 2대주주 입장을 묻는 질문에 "(2대 주주가) 이미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주성엔지니어링 2대주주는 오스템임플란트 창업자 최규옥 회장이며 지분율은 8.11%다.

황 회장은 회사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는 글라스 기반 '인터포저' 기술 △디스플레이는 투명하고 휘어지는 무기발광디스플레이 기술 △태양광은 35% 이상 광변환효율을 낼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융·복합 기술 등 각 부문에서 이미 미래 기술을 선점했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과거에는 각 분야에서 1위부터 10위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지만, 정보가 실시간 공유되는 4차산업혁명 이후에는 오로지 1등만 생존이 가능하다"며 "그동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태양광 분야에서 확보한 혁신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회사로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