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속보]인류 최대·최강 로켓 ‘스타십’, 4번째 발사 시도 끝 귀환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스크 “부드러운 바다 착수…대단한 성취”

경향신문

인류 최대·최강 로켓인 스페이스X의 ‘스타십’이 6일 오전 7시50분(한국시간 오후 9시50분)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에 있는 스타베이스 발사장에서 이륙하고 있다. 스페이스X SNS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한 로켓인 ‘스타십’을 지구로 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졌던 4번의 시험 발사 끝에 예정된 비행을 완수한 것이다. 이번 발사가 최종 성공으로 판명된다면 인류는 최대 100명을 태울 수 있는 대형 우주교통 수단을 얻는 데 바짝 다가서게 된다.

스페이스X는 현지시간 6일 오전 7시50분(한국시간 6일 오후 9시50분) 미 텍사스주 보카치카에 있는 스타베이스 발사장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이번 시험 발사는 사람을 태우지 않은 채 진행됐다.

스타십은 ‘슈퍼헤비’로 불리는 1단과 ‘스타십 우주선’으로 불리는 2단 로켓이 연립주택처럼 수직으로 쌓여 있는 형태다.

발사 2분 41초쯤 뒤 슈퍼헤비는 엔진 연소를 끝내고 스타십 우주선만 남긴 채 공중에서 분리됐다. 슈퍼헤비는 여느 로켓처럼 그대로 바다에 버려진 것이 아니라 자동차가 후진하듯 천천히 고도를 낮추며 내려와 멕시코만 바다에 안착했다. 여러 번 반복해 쓰기 위해 로켓을 회수하는 스페이스X의 ‘재사용 발사체’ 기술이 정상 작동한 것이다.

2단부인 스타십 우주선은 계속 상승해 지구 궤도로 진입했다. 고도 210㎞ 내외를 순조롭게 비행하던 스타십 우주선은 발사 47분 뒤 지구 대기권을 향해 고도를 낮추며 재진입했다. 귀환을 시작한 것이다.

그런데 대기권으로 들어와 하강하던 스타십 우주선 동체 일부가 뜯겨 나가는 듯한 모습이 동체에 장착된 카메라에 잡혔다. 이때 고도가 지상에서 약 50㎞, 발사 뒤 약 59분이 지난 때였다.

하지만 스타십은 지속적으로 지상 관제센터에 비행 관련 데이터를 전송했다. 동체가 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은 것이다. 그러다 스타십은 발사 1시간 6분 뒤쯤 예정된 대로 인도양 위에 착수했다.

일론 머스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X(옛 트위터)를 통해 “(동체에 붙어 있는) 타일과 플랩이 손상됐지만 스타십은 바다에 부드럽게 착수하는 데 성공했다”며 “대단한 성취를 이룬 관련 팀에게 축하를 전한다”고 밝혔다.

스타십은 인류가 개발한 사상 최대 로켓이다. 길이가 120m로, 지금까지 가장 컸던 로켓인 ‘새턴 5호(110m)’를 뛰어 넘는다. 새턴 5호는 1960~1970년대 아폴로 계획에서 사용됐다.

스타십은 엔진의 힘, 즉 추력도 사상 최강이다. 7590t이다. 2022년 아르테미스 1호를 비행시켰던 ‘우주발사시스템(SLS)’이 3900t 추력을 보이면서 왕좌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번에 그 자리를 스타십이 꿰차게 됐다.

이번 발사는 스타십의 4번째 시험 발사였다. 지난해 4월과 11월 각각 있었던 1차와 2차 시험 발사에서는 기계적인 이상이 발생하면서 발사 10분도 지나지 않아 공중 폭발이 일어났다. 지난 3월 진행된 3차 발사도 발사 48분 만에 동체가 부서졌다. 스페이스X는 실패 사례를 분석해 기술적인 보완을 거쳤고, 결국 ‘발사 성공’ 도장을 찍게 됐다.

스페이스X는 스타십에 사람 100명을 태울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금까지 한 번도 등장한 적 없는 대형 우주 교통수단이다. 이를 통해 화성 등에 사람과 물자를 다수 운송할 수 있을 것으로 스페이스X는 기대하고 있다.

달 개척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26년 아르테미스 3호를 통해 인간 2명을 달에 착륙시킬 예정인데, 착륙선으로 스타십을 쓸 예정이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X를 통해 “인류를 달로 돌려 보내는 데 한 걸음 다가서는 한편 화성을 향해서도 나아갈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