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한-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 창설…"K실크로드 구상 추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국내서 첫 회의 개최…대통령실 "핵심광물 등 공급망 협력 강화"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순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6.7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곽민서 기자 =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 5개국이 오는 10∼15일 윤석열 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6개국 정상회의를 창설하고 내년에 우리나라에서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중앙아시아 5개국은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이다.

김태효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1차장은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한-태평양 도서국 정상회의와 올해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이어 내년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의를 통해 우리 외교 네트워크를 중앙아시아 지역까지 넓힐 계획이다.

정부는 또 중앙아시아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외교 전략으로 '한-중앙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은 윤석열 정부가 인도·태평양 전략,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연대 구상에 이어 세 번째로 발표하는 지역 전략으로, 우리나라가 중앙아시아에 특화된 외교 전략을 발표하는 것은 역대 처음이다.

우리와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의 역시 이 같은 구상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다음 주 예정된 올해 첫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을 계기로 이러한 외교 구상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번 전략은 특히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맞아 핵심 광물을 포함한 공급망 협력 등 역내 경제 교류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혁신 역량과 중앙아시아의 풍부한 자원 등 발전 잠재력을 연계해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동행·융합·창조'를 3대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자원 협력(R) ▲공적개발원조(ODA)(O) ▲동반자 협력(A) ▲유기적 협력(D) 등 4대 '로드'(ROAD) 추진 체계를 이행하기로 했다.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전략적 자원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실질적인 개발 협력을 통해 기후 위기·보건 위기 등에 함께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고려인 동포가 다수 거주하는 중앙아시아와 유대를 바탕으로 문화 교류를 넓히고, 정부·기업·국민을 아우르는 유기적 협력 네트워크를 창출하겠다는 방향도 제시했다.

김 차장은 브리핑에서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은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중앙아시아 지역과의 협력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한 청사진을 담고 있다"며 "이번 방문은 실크로드 구상에 대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확고한 지지를 확인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skwa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