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우리은행, 또 터진 횡령사고.. 100억대 빼돌린 직원(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객 대출·입금서류 위조해 해외 선물 투자

자체 내부통제 시스템 통해 적발···직원 자수

투자 손실 60억 추정···우리銀 "구상권 청구"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2년 전 700억원대 횡령사고를 겪었던 우리은행에서 약 100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다시 발생했다. 지방의 지점 직원 A씨가 고객 대출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조작해 대출금을 빼돌린 뒤 해외 선물 등에 투자한 사례를 발견했다. 이번 사고는 은행 자체 내부통제 시스템에 의해 적발됐지만, 은행권 금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내부통제 부실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방 지점에서 발생한 100억원가량의 금융사고와 관련해 우리은행은 10일 “자체 내부통제 시스템에 의해 직원 A씨가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대출 신청서와 입금 관련 서류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대출금을 횡령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여신감리부 모니터링을 통해 대출 가정에서 이상 징후를 포착했다. 이에 A씨에게 소명을 요구하는 동시에 담당 팀장에게 거래 명세를 전달해 검증을 요청했다.

은행으로부터 소명 요구를 받은 A씨가 이날 경찰에 자수하면서 횡령 사실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우리은행은 상세한 경위 파악과 횡령금 회수를 위해 특별검사팀을 해당 지점에 급파한 상황이다.

회사 측이 입은 손실액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현재 A씨의 투자 손실은 약 60억원으로 추정된다. 우리은행은 향후 강도 높은 감사와 함께 구상권 청구, 내부통제 프로세스 점검 등의 절차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은행 직원이 고객 돈에 손을 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22년 우리은행에서 약 700억원의 횡령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BNK경남은행에선 2988억원 규모의 횡령사고가 터졌다. 이는 역대 최대 금융사고다.

올해 초엔 농협은행에서 연이어 금융사고가 터졌다. 지난 3월 5일 초과 대출로 인한 업무상 배임으로 109억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부동산 가격 고가 감정에 따른 초과대출 사례가 확인되기도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