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與, 원구성 협상 결렬에 "민주당·국회 죽었다…이재명 독재 체제 전락"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국민의힘, 野 11개 상임위원장 선출 강행 반발…추경호 "이재명 방탄, 탄핵정국 의도"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한 국회 본회의가 예정된 10일 오후 원내대표 회동을 마친 뒤 국회의장실을 나와 협상 결렬 관련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24.6.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야 간 협상 불발로 22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을 위한 본회의가 끝내 야당 단독으로 개의한 가운데 국민의힘이 "오늘(10일) 더불어민주당과 국회는 이재명 1인 독재 체제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0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로텐더홀 계단에서 규탄대회를 열고 "오늘 민주당도 죽었고 국회도 죽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대체 누구를 위한 폭주인가. 오로지 (민주당은) 이재명 방탄, 이재명 수호,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를 위한 것"이라며 "여기엔 민생도 국익도 없다. 앞으로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를 위한 온갖 당리당략적 악법들이 일방 통과될 것"이라고 했다.

추 원내대표는 "이 모든 것을 중재하고 협의를 끌어내야 할 사람이 (우원식) 국회의장이다. 그러나 국회의장이 민주당의 의원총회 대변인으로 전락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제 이 나라에 진정한 국회의장은 없고,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싸원다는 우원식도 없다"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또 추 원내대표는 민주당 소속 의원들을 향해 "(법대로를 외치는 데) 여러분의 선배 국회의원들이 여러분보다 준법의식이 부족했을 것 같느냐"며 "선배 의원들이 지켜온 건 관례와 전통이자 민주주의이고 여러분이 지키는 건 '법대로'로 포장한 이재명"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강탈해가려는 것은 결국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 방탄, 대통령 탄핵정국 조성 그리고 이를 위한 언론 장악 의도"라며 "이재명 대표는 여의도 대통령 놀음에 빠져 국민 무서운 줄을 모르고 있다"고 했다.

추 원내대표는 "171석 국회 권력으로 수사와 권력을 막아보겠다는 그 오만한 발상, 오늘 이곳 본회의서 성공할지는 몰라도 반드시 국민들께서 심판하실 것"이라며 "다수당의 힘으로 우리를 밟고 지나갈 수는 있어도 법 앞의 정의와 진실마저 덮을 수는 없다"고 경고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 앞에서 열린 '민주당의 상임위원장 선출 절차 강행 시도 규탄' 연좌시위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사퇴, 이재명 방탄 사죄'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06.10. suncho21@newsis.com /사진=조성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여야는 이날 저녁까지 22대 국회 전반기 원구성을 놓고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접점은 찾지 못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결국 저녁 9시쯤 본회의를 열어 법제사법위원장 등 11개 상임위원장 선출 안건을 표결에 부치기로 했다. 이날 추 원내대표는 법사위를 국민의힘에 주면 운영위와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를 내주는 협상안을 제시했지만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원내대표는 "법제사법위원회를 우리 여당 국민의힘에 준다면 운영위원회와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를 포기하고 민주당에 줄 수 있다고 얘기했는데, (민주당이) 단칼에 거부했다"며 "저희가 고심 끝에 협상안을 제안했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초지일관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 방탄을 위해서 법사위·운영위·과방위를 강탈해서 움켜쥐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협상이 완전히 결렬된 상태"라고 밝혔다.

박상곤 기자 gonee@mt.co.kr 안재용 기자 poo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