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비상…둔촌주공 '중품아' 무산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공사 완료 이후 올림픽파크포레온 가상 이미지. [사진 올림픽파크포레온 홈페이지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로 불리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단지 내부 기부채납 부지에 중학교 설립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림픽파크포레온 단지 내 학교 용지를 공공 공지(空地)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공공 공지는 공원·학교 등 기반시설이나 주거편익시설, 상업·업무시설 등 주민 생활에 필요한 시설을 만들기 위한 땅이다. 학교 관련 시설만 들어올 수 있는 기존 학교용지에서 활용 폭이 넓어졌다.

서울시, 공공 공지로 전환 추진

중앙일보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 단지 배치도와 신설 학교 예정 지역(좌측 상단). [사진 올림픽파크포레온 홈페이지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초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조합은 2014년 강동송파교육지원청과 학교 용지 기부채납 협약을 체결했다. 때문에 올림픽파크포레온은 단지 내 중학교가 자리 잡은 이른바 ‘중품아’ 단지로 알려졌다.

하지만 2020년 교육부가 중앙투자심사서 학령인구 감소를 근거로 중학교를 설립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새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이 항의하자 서울시교육청은 도시형 캠퍼스 도입을 대안으로 제시했지만, 이 역시 무산됐다. 도시형 캠퍼스는 운동장이나 체육관이 없는 미니 학교로, 폐교와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내놓은 대안이다. 하지만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예정자들은 도심형 캠퍼스도 반대하고 있다.

강동구는 서울시와 교육 당국의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수희 강동구청장은 “학교 설립 수요가 있는데도 설립이 안 되면 열악한 학습 환경 피해는 학생들이 안게 될 수밖에 없다”며 “공공 공지로 전환을 재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강동구 “입주 후 학령아동 파악해야”

중앙일보

한창 공사 중인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구청장은 “(공공 공지 전환의 근거였던) 학령아동수는 둔촌주공아파트 조합원·수분양자를 기초로 조사한 것”이라며 “올림픽파크포레온에 전세·월세로 입주하는 세입자가 입주를 마치는 시점인 2025년 3월이 돼야 구체적인 아동 수를 가늠할 수 있다”며 서울시가 공공 공지 전환을 2025년까지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 아파트 단지 입주 시기는 6개월 뒤인 올해 말로 예정돼 있다.

서울시는 난감해하고 있다. 학교 신설 문제는 강동구와 교육청이 논의할 사안이라 개입하기 어렵다고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학교 용지를 공공 공지로 전환하는 것은 교육부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적정 판정이 나오면 서울시도 신속하게 중학교 신설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