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밀양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상처만 주고 반짝 관심으로 그치지 않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피해자의 일상회복으로 -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이 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진행된 ‘2004년에서 2024년으로: 밀양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삶에서, 피해자의 눈으로, 피해자와 함께 말하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유튜버들이 가해자 신상 공개 영상을 올리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는 ‘밀양 성폭력 사건’과 관련해 피해자 자매가 “이 사건이 잠깐 반짝하고 피해자에게 상처만 주고 끝나지 않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매는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지원단체 중 하나인 한국성폭력상담소가 13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상담소 관계자가 대독한 서면 입장문을 통해 이렇게 전했다. 다만 간담회에 참석하지는 않았다.

자매는 유튜버들이 가해자 신상 공개 영상을 올린 것과 관련해서는 “피해자 동의, 보호 없는 이름 노출, 피해자를 비난하는 행동을 삼가셨으면 좋겠다”며 “무분별한 추측으로 피해자를 상처받게 하지 말아달라”고 밝혔다.

이들은 “나락보관소의 영상은 피해 당사자가 알기 전 내려주기를 원했던 것”이라며 “피해자 남동생이 보낸 메일로 인해 오해가 있었지만 피해자와 사전 협의가 없었던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보배드림에 ‘밀양 사건의 피해자’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글도 “피해자의 동생이 작성한 글이 맞다”고 했다. 해당 글은 ‘유튜버 판슥이 피해자의 동의 없이 영상을 올렸다. 여동생인 제가 피해자(언니)에게 상황을 묻고 삭제 요청을 했는데 삭제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이다.

이들은 “가끔 죽고 싶을 때도 있고 우울증이 심하게 와서 미친 사람처럼 울 때도 있고, 멍하니 누워만 있을 때도 자주 있지만 이겨내 보도록 노력하겠다”며 “힘내라는 댓글과 응원에 조금은 힘이 나는 거 같다. 혼자가 아니란 걸 느꼈다. 잊지 않고 관심 가져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피해자가 지난해 11월 유튜버 ‘판슥’에게 전화를 한 건 맞지만 그건 고민 상담을 해준다는 공지를 보고 연락한 것”이라면서 “피해자는 ‘공론화’라는 단어를 쓴 적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자가 유튜버에게 지난해 11월 ‘다 지워주세요’라는 의사를 명확하게 밝힌 것을 강조하면서 “피해자 의사가 반드시, 즉시 존중돼 (영상이) 삭제가 되기를 피해자와 함께 요구한다”고 했다.

이어 ‘유튜버들을 형사 고소할 계획이 없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피해자와 상의한 바 없다. 피해자가 직접 고소하면 법적 당사자로 만나야 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답했다.

‘밀양 성폭력 사건’은 2004년 경남 밀양에서 고등학생 44명이 울산에 거주하던 한 중학생을 1년 동안 집단 성폭행한 사건이다. 최근 가해자 신상이 피해자 동의 없이 여러 유튜버를 통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됐다.

피해자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한 김 소장은 “유튜버들에게는 가해자들의 삶을 무너뜨리겠다는 것이 도전적인 프로젝트처럼 콘텐츠화되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 그 과정들이 피해자에게는 어떨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유튜버들의 영상 게재 후 일부 가해자 가족들이 상담소로 여러 번 연락했다”면서 “진심 어린 사과의 계기나 시점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상담소는 피해자가 일상을 회복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이날부터 피해자를 위한 모금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미경 상담소 이사는 “국가가 나서서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지원했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했다”며 “피해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집과 생활 기반이었지만 상담소 차원의 지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했다. 김 소장은 “모금액의 100%가 피해자 생계비로 쓰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송현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