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오픈AI, 애플 아이폰에 공짜로 챗GPT 탑재시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폭 행보 속 前 NSA 국장 이사회 영입도

조선일보

지난 10일 애플 'WWDC' 행사에 나타난 샘 올트먼 오픈AI CEO./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과 오픈AI가 기술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나, 이 계약에 금전적인 대가는 오가지 않았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오픈AI의 서비스를 애플의 하드웨어 기기에 기본 탑재해주는 대가로 애플이 오픈AI 기술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수억 대의 애플 기기에 서비스를 탑재하는 것이 금전적 보상보다 더 큰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앞서 애플은 지난 10일 열린 ‘세계 개발자 회의(WWDC)’에서 자사 음성 인공지능(AI) ‘시리’에 챗GPT를 접목한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시리와 대화를 하며 시리가 아닌 챗GPT로부터 답변을 받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애플에 따르면 시리에서 챗GPT를 기본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기존 유료 이용자들은 유료버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블룸버그는 “이 파트너십은 당장은 어느 한 쪽에도 의미있는 수익을 창출시킬 계약은 아니”라며 “오히려 애플의 기기로 챗GPT를 쓰는 사람이 늘어나면 오픈AI가 지불해야할 클라우드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크 업계에선 오픈AI가 경쟁 챗봇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애플의 기기에 탑재되는게 가장 빠른 이용자 확대의 방법이라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처럼 적극적인 사업확대에 나선 오픈AI는 각종 규제에 직면해 있기도 하다. 미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오픈AI·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MS) 3사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시작했고, 미 캘리포니아 주의회도 최근 AI개발사들이 생화학 무기·핵무기 등 위험한 모델을 개발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을 하원에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오픈AI는 글로벌 로비 조직을 키우고 있다. 12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글로벌 로비 업무팀 직원수가 지난해 초 3명에서 현재 35명으로 늘렸고, 연말까지 5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조선일보

전 NSA 국장 폴 나카소네./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13일에는 국가안보국(NSA) 국장을 지낸 폴 나카소네 육군 장군을 이사회 일원으로 영입하기도 했다. 오픈AI는 이날 블로그 게시물에서 “나카소네의 통찰력은 사이버 보안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함으로써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AI를 사용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려는 오픈AI의 노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나카소네는 최근 신설된 오픈AI의 ‘안전 및 보안 위원회’에도 합류한다.

[실리콘밸리=오로라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