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66조 받을 자격 충분해"…테슬라 주주들 '머스크' 손 들어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테슬라 주총서 '2018 CEO 보상안' 재승인

머니투데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한화 약 66조원 규모의 성과 보상안을 재승인했다. 한 소액주주의 소송으로 그동안 받은 스톡옵션을 모두 반납해야 할 상황에 놓였던 머스크가 주주들의 지지를 재확인하며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한화 약 66조원 규모 성과 보상안을 재승인했다. 한 소액주주의 소송으로 그동안 받은 스톡옵션을 모두 반납해야 할 상황에 놓였던 머스크가 주주들의 지지를 재확인하며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CNBC·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을 종합하면 테슬라는 이날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본사에서 연례 주주총회를 열고 머스크 CEO에게 경영 성과에 따라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을 지급하기로 한 '2018년 보상안(2018 CEO pay package)'을 재승인하는 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주주들의 찬반 표결 수치는 현장에서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에 주총에서 가결된 2018년 보상안은 테슬라 매출·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머스크가 단계별 성과를 달성할 경우 12회에 걸쳐 총 3억300만주의 스톡옵션을 지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머스크는 해당 성과를 모두 달성해 스톡옵션을 받았고, 이를 행사할 경우 테슬라 주식을 주당 3.34달러에 매입할 수 있다. 스톡옵션의 가치는 한 때 560억달러(약 77조1800억원)에 달했으나 최근 테슬라 주가가 하락해 이날 종가(182.47달러) 기준으로는 480억달러(약 66조1500억원) 수준이다.

이 보상안은 2018년 이사회와 주총을 거쳐 승인됐는데 테슬라 소액주주인 리처드 토네타가 이를 무효로 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하면서 문제가 됐다. 올 1월 법원이 소액주주의 손을 들어주는 잠정 승소 판결을 내리면서 머스크는 그동안 받은 스톡옵션을 모두 반납해야 할 위기에 놓였었다.

테슬라 이사회가 이 보상안을 주총 안건으로 다시 올린 것은 주주들이 머스크에 대한 보상안을 지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다. 테슬라 이사회는 다음달 보상안 무효소송의 최종 판결이 확정되면 주 대법원에 항소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주총에서 가결된 보상안 재승인이 소송에서 즉각적인 효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주주들의 지지를 다시 한번 확인한 만큼 향후 항소심이 진행될 경우 판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테슬라 보상안 무효 판결을 내린 델라웨어 법원의 판사는 이 보상안의 승인 과정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고 판단했다. 머스크가 테슬라 이사회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보상안 내용을 주주들에게 충분히 공개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컬럼비아대 로스쿨 에릭 탤리 교수는 "테슬라의 이번 주총 투표에선 법원이 지적한 보상안 승인 절차의 결함이 바로 잡힌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투자회사 차이캐피털의 크리스토퍼 차이 사장은 "주주들이 테슬라에 투자하는 건 머스크를 믿기 때문"이라며 "CEO에게 보상을 해주고 더 발전하자는 것이 주주들이 내린 결론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이날 주총에서 법인 소재지를 델라웨어에서 텍사스로 이전하는 안건도 통과됐다. 테스라 이사회 멤버인 머스크의 친동생 킴벌 머스크와 미디어 거물 루퍼트 머독의 아들 제임스 머독을 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도 가결됐다.

수십조원을 토해 내야 할 위기에 놓였던 머스크가 CEO로서 재신임을 받으면서 주주들은 안도하는 분위기다. 테슬라 주가는 전날 3.88% 오른데 이어 이날 정규장에서 2.92% 상승했다.

송지유 기자 cli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