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남대, 국내 대학 유일 미국 DTC 정식 회원 가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독일 IDTA 아시아대학 최초 가입 이후 두 번째

글로벌 스마트 제조ICT 인재 양성 체계 구축

경남대학교가 국내 대학에서는 유일하게 ‘미국 Digital Twin Consortium(이하 DTC)’ 회원이 됐다.

창원국가산업단지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고 있는 경남대의 담대한 혁신과 글로컬대학30 본 지정에 새로운 추진 동력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번 가입으로 경남대는 글로컬대학 및 RISE와 연계한 ‘글로벌 스마트 제조ICT 인재 양성의 협력 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게 됐다.

DTC(디지털트윈컨소시엄)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인식, 채택, 상호 운용성 및 발전을 주도하는 글로벌 단체이다. 지난해 경남대가 아시아 대학 최초로 정식 회원이 된 독일 연방정부 산하 협의체 ‘IDTA(Industrial Digital Twin Association, 디지털트윈협회)’와 글로벌 디지털 트윈 산업 분야에서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아시아경제

미국 DTC 가입 행사 후 CTO Dan Isaacs(왼쪽)와 초거대제조AI글로벌공동연구센터 유남현 부센터장과의 기념 사진. [이미지제공=경남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학·관 전문들과의 협력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트윈의 전반적인 개발에 전념하고 있으며, 주요 회원으로는 Microsoft, Google, DELL, ANSYS, Dassault Systemes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경남테크노파크, 전기연구원, 전자기술연구원, 창원강소기업인 한국오픈솔루션 등이 가입되어 있다.

‘디지털 트윈’은 가상 공간에 기계나 장비, 사물 등 현실과 똑같은 3차원 데이터를 만든 뒤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모의실험 함으로써 결과를 예측하고 사전에 해결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구체화하고 적용할 기반 기술이 점차 발전 및 축적됨에 따라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할 핵심 기술로 다양한 산업군에 주목받고 있다.

DTC 회원 가입을 위해 유남현 초거대제조AI 글로벌공동연구센터 부센터장은 직접 ‘미국 DTC 2분기 정기 미팅’에 참여했다.

행사에서 유 부센터장은 올해 경상남도가 유치하고 경남대와 경남테크노파크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제조융합SW 개발 및 실증 사업’과 ‘제조산업 특화 초거대제조AI 서비스 개발 및 실증 사업’을 각각 소개했다.

특히 두 사업에 제조 분야 표준에 최적화된 독일 IDTA의 ‘데이터수집표준기술(AAS)’과 ‘Data Space 표준 기술’,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제조(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 개념을 동시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공유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일본 NEC(일본전기주식회사)와 벨기에 글로벌 엔지니어링 SW기업 IMEC 소속 회원들은 이 계획에 큰 관심을 보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과제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하는데 약속하기도 했다.

DTC CTO Dan Isaacs(다니엘 아이작스)를 비롯한 DTC 회원들은 “경남대와 경남테크노파크가 추진하는 사업들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성과를 DTC에서 홍보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적극적으로 돕겠다”며 “경남대 초거대제조AI 글로벌공동연구센터가 올해 하반기에 추진하는 글로벌 세미나에 초대해 준다면 꼭 발표자로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