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임미애 민주당 의원 “TK신공항 인근에 소형 원자로 유치 반대”…안전성 검증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동강에 냉각수 배출”

지역사회 합의없이 추진

경북 출신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비례)이 TK 신공항 인근에 소형원자로 유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 의원은 14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국내 최초의 내륙형 소형 원자력 발전소가 대구에 들어설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왔다. 소형모듈형원자로(SMR)가 들어설 부지로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인근에 건립될 군위첨단산업단지가 후보지로 언급되고 있다. 문제는 경제성과 안전성이 실증되지 않은 SMR의 군위 설치가 지역사회 합의 없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민주당 임미애 의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 의원은 이어 “이번에 건설될 SMR은 680MW 규모로 170MW의 원자로 4기가 한 부지에 들어선다. 소형 원자로라고 하기에는 고리 1호기(587MW) 규모보다 크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임 의원은 이 성명서에서 “소형원자로의 안전성을 단언할 수 없다. 아직 설계단계이고 실증화가 되지 않았다. 정부도 이제야 안전규제 방안을 만들 SMR 규제 연구추진단을 꾸리고 있다. 새로운 설계의 원자로이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검증과 데이터가 불충분하다. 안전장치의 성능 입증은 신기술을 개발해서 다양한 스트레스 강도를 적용해 새롭게 입증을 해야 한다. 안전성 검증이 불충분할수록 사고위험성은 그만큼 커진다”고 우려했다.

이 성명서는 또 “SMR은 기존 원자력발전소와 마찬가지로 사용후핵연료를 배출한다. 미국 스탠퍼드대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구진은 SMR이 일반 원전보다 더 많은 방사성 폐기물을 생성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영구처분할 부지 선정이 이뤄지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SMR 도입은 성급한 결정이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임 의원은 “더 큰 문제는 냉각수 공급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현재로서는 핵발전소의 냉각수로 낙동강물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형편에 국민의 주요 취수원인 낙동강에 원전 배출수를 방류한다는 의미다. 낙동강에 냉각수로 사용된 온배수와 정상적으로 운전중 배출하는 방사능, 그리고 만일에 있을 사고로 인한 방사능까지 방출한다면 국민의 식수 안전과 낙동강의 생명력은 회복될 수 없을 것이라는 게 임 의원의 주장이다.

임 의원은 “원전의 위험성과 더불어 SMR 유치를 추진하는 홍준표 대구시장에게 대구·경북 통합 속도전의 진의를 묻지 않을 수 없다. SMR 부지로 언급되는 대구 군위군은 원래 경북에 속해 있었지만 대구로 편입된지 1년도 채 되지 않았다. SMR 같은 위험한 시설을 통합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군위군에 유치하려는 것은 현재 홍준표 대구시장이 주도하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가 결코 기우가 아님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임 의원은 “지방소멸 위기에 내몰린 지역 주민들은 울며 겨자먹는 심정으로 기피시설이라도 유치해 지역에 변화를 만들고 싶어한다. 이런 주민들의 눈물을 자기 정치적 성과내기에 악용하는 정치는 용납될 수 없다. 대구광역시는 SMR 유치에 따른 주민들의 우려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그리고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경북을 제물로 한 대구 살아남기가 되지 않도록 주민 의사를 충분히 수렴하고 균형잡힌 발전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임 의원은 끝으로 “지역 발전을 위해서라면 원자력 이용연구 부지에 무한관리해야 하는 핵폐기물 재처리와 같은 위험시설을 들여오는 것보다는 핵의학, 자기공명, 가속기 등 방사선 이용개발을 위한 보다 장기적이며 지속가능한 방사선 산업단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영남취재본부 구대선 기자 k586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